중국 전기차 1위 BYD의 1톤 전기트럭이 정부의 견제 정책을 넘고 국내산과 동일한 보조금을 받게 됐다. BYD는 보조금 100%를 받기 위해 주행 성능·연비·사후관리를 모두 갖춘 한국형 전용 모델을 따로 개발하는 등 한국 시장을 잠식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치고 있다. 올해부터 중국차 공습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부품 국산화율, 충돌 안전성 등을 고려해 보조금 문턱을 더욱 높이지 않으면 국내 시장을 중국 전기차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BYD 전기트럭 T4K 슈퍼캡 롱레인지 프리미엄 가격은 4669만원으로 경쟁 차종인 현대자동차 포터 전기차(4375만~4554만원)와 기아 봉고(4365만~4550만원)보다 높다.
T4K는 현대차·기아 전기트럭과 같은 수준의 보조금을 받는다. 이렇게 되면 115만~300만원 차이에 그치는 데다 T4K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두 모델보다 35㎞ 더 길어 국내 시장을 장악할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올해 초 중국산 차량을 견제할 목적으로 보조금 개편안을 내놨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기트럭 보조금 상한선은 1200만원이다. 정부는 당초 소형 전기트럭 기본보조금(500만원)과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200㎞까지 차등을 둔 성능보조금(900만원)을 지원했다.
개편 후에는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250㎞로 확대한 성능 차등 지원과 직영·협력 AS센터 운영 여부, 정비이력 전산관리시스템 유무에 따라 최대 1200만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통상 중국차들은 사후관리가 문제로 꼽혀왔고 주행거리가 짧다는 점을 고려해 이 같은 개편안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BYD는 한국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을 확인한 후 보조금을 받기 위한 전략을 준비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BYD는 GS글로벌, 카카오모빌리티 등 국내 기업과 협업해 한국 전용 모델을 개발했고 보조금 100% 지원 기준에 맞춘 성능 개발, AS센터 확보에 나섰다.
소상공인 대상 보조금 산정액 30% 추가 지원 역시 BYD와 현대차·기아 모두 360만원을 받는다. 정부는 개편안에서 보조금 규모를 10%에서 30%로 늘렸을 뿐 중국산 모델을 견제할 만한 조건을 내걸지 않았다.
정부 정책이 가격뿐 아니라 기술력까지 갖춘 중국산 차량을 견제하지 못하면서 한국 자동차 시장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미 중국산 전기차는 버스 시장에서 가능성을 보여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중국산 전기버스 점유율은 2019년 24%에서 지난해 42%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차량과 부품 원산지를 고려하지 않고 보조금을 일괄적으로 지급한 탓이다. 중국산 전기버스는 한국산보다 최대 1억5000만원 이상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통상 서민의 발인 소형 상용차는 가성비 차라는 입소문이 퍼지면 불티나게 팔려나가는 모델인 만큼 BYD 전기트럭의 시장 장악 속도도 빠를 것으로 보인다.
BYD는 올해 3000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시장 반응과 중국 공장 생산 스켸줄에 따라 물량을 점차 늘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보조금을 빼면 실구매가가 1600만원 수준인 중국 동풍소콘의 마사다는 지난해 국내에서 1500대 이상 팔렸다.
BYD뿐 아니라 다양한 중국산 전기차가 줄줄이 출시 대기하고 있어 올해부터 중국 자동차 공습이 본격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링자동차와 체리자동차는 다음 달 EV3와 EQ1, EQ1프로, QQ 등을 국내에 내놓는다. 이들 모델은 1000만원대 초반~2000만원대 중후반에 가격이 형성될 전망이다. BYD는 올 하반기 전기 승용차 출시를 고려하고 있다. 명신은 다음 달부터 소형 전기트럭 세아를 판매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BYD 전기트럭 T4K 슈퍼캡 롱레인지 프리미엄 가격은 4669만원으로 경쟁 차종인 현대자동차 포터 전기차(4375만~4554만원)와 기아 봉고(4365만~4550만원)보다 높다.
T4K는 현대차·기아 전기트럭과 같은 수준의 보조금을 받는다. 이렇게 되면 115만~300만원 차이에 그치는 데다 T4K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두 모델보다 35㎞ 더 길어 국내 시장을 장악할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올해 초 중국산 차량을 견제할 목적으로 보조금 개편안을 내놨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기트럭 보조금 상한선은 1200만원이다. 정부는 당초 소형 전기트럭 기본보조금(500만원)과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200㎞까지 차등을 둔 성능보조금(900만원)을 지원했다.
하지만 BYD는 한국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을 확인한 후 보조금을 받기 위한 전략을 준비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BYD는 GS글로벌, 카카오모빌리티 등 국내 기업과 협업해 한국 전용 모델을 개발했고 보조금 100% 지원 기준에 맞춘 성능 개발, AS센터 확보에 나섰다.
소상공인 대상 보조금 산정액 30% 추가 지원 역시 BYD와 현대차·기아 모두 360만원을 받는다. 정부는 개편안에서 보조금 규모를 10%에서 30%로 늘렸을 뿐 중국산 모델을 견제할 만한 조건을 내걸지 않았다.
정부 정책이 가격뿐 아니라 기술력까지 갖춘 중국산 차량을 견제하지 못하면서 한국 자동차 시장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미 중국산 전기차는 버스 시장에서 가능성을 보여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중국산 전기버스 점유율은 2019년 24%에서 지난해 42%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차량과 부품 원산지를 고려하지 않고 보조금을 일괄적으로 지급한 탓이다. 중국산 전기버스는 한국산보다 최대 1억5000만원 이상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통상 서민의 발인 소형 상용차는 가성비 차라는 입소문이 퍼지면 불티나게 팔려나가는 모델인 만큼 BYD 전기트럭의 시장 장악 속도도 빠를 것으로 보인다.
BYD는 올해 3000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시장 반응과 중국 공장 생산 스켸줄에 따라 물량을 점차 늘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보조금을 빼면 실구매가가 1600만원 수준인 중국 동풍소콘의 마사다는 지난해 국내에서 1500대 이상 팔렸다.
BYD뿐 아니라 다양한 중국산 전기차가 줄줄이 출시 대기하고 있어 올해부터 중국 자동차 공습이 본격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링자동차와 체리자동차는 다음 달 EV3와 EQ1, EQ1프로, QQ 등을 국내에 내놓는다. 이들 모델은 1000만원대 초반~2000만원대 중후반에 가격이 형성될 전망이다. BYD는 올 하반기 전기 승용차 출시를 고려하고 있다. 명신은 다음 달부터 소형 전기트럭 세아를 판매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