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6번째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 앞서 발생한 국내 환자 5명은 모두 해외 유입 연관성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발생한 환자는 해외 여행력이 없어 질병관리청이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이다.
8일 질병청에 따르면 내국인 A씨는 지난 3일 피부 발진이 낫지 않아 의료기관을 찾았다. 다른 감염병 검사를 받았으나 음성이 나왔고, 지난 6일 엠폭스 감염 의심으로 관할 보건소에 신고됐다. 이후 질병청이 A씨를 대상으로 진단 검사를 했고, 유전자 검사 결과 지난 7일 양성으로 확인됐다.
역학조사 결과 A씨는 3개월 이내 해외 여행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발생한 국내 환자 5명 사례와는 대조적이다. 이들은 모두 해외 유입 연관성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질병청은 연합뉴스에 "확진자 동선 확인과 접촉자 조사를 시행 중으로, 확인된 접촉자는 노출 수준에 따라 관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A씨는 엠폭스 치료 병원에 입원 중이며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으로 알려졌다. 질병청은 개인정보보호 등의 이유로 A씨의 성별, 연령, 지역 등을 밝히지 않았다.
한편 아프리카 지역 풍토병이었던 엠폭스는 지난해 5월 아프리카가 아닌 지역에서 발병 사례가 나온 뒤로 환자 수가 급증했다. 이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선언을 내렸다. 엠폭스는 수포성 발진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급성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8일 질병청에 따르면 내국인 A씨는 지난 3일 피부 발진이 낫지 않아 의료기관을 찾았다. 다른 감염병 검사를 받았으나 음성이 나왔고, 지난 6일 엠폭스 감염 의심으로 관할 보건소에 신고됐다. 이후 질병청이 A씨를 대상으로 진단 검사를 했고, 유전자 검사 결과 지난 7일 양성으로 확인됐다.
역학조사 결과 A씨는 3개월 이내 해외 여행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발생한 국내 환자 5명 사례와는 대조적이다. 이들은 모두 해외 유입 연관성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질병청은 연합뉴스에 "확진자 동선 확인과 접촉자 조사를 시행 중으로, 확인된 접촉자는 노출 수준에 따라 관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아프리카 지역 풍토병이었던 엠폭스는 지난해 5월 아프리카가 아닌 지역에서 발병 사례가 나온 뒤로 환자 수가 급증했다. 이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선언을 내렸다. 엠폭스는 수포성 발진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급성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