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4/11/20230411112057950100.png)
과수 화상병을 진단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인공지능 딥러닝 학습법을 적용해 화상병 이미지 3만 장 이상의 병징을 활용해 윈도우용 ‘화상병 판단 프로그램’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G화상병’을 개발했다.
과수 화상병 프로그램은 병 이미지를 촬영하면 감염 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해 줘 초기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과수 화상병 간이 진단 프로그램은 농가 및 관련 기관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추후 경기도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보급할 계획이며, 경기도농업기술원 사이버식물병원 자료실에서도 쉽게 내려받을 수 있다.
과수 화상병은 사과와 배 등 과일의 잎, 열매, 가지, 꽃 등을 감염시키는 병으로 과수나 잎사귀에 발생한 검은색 반점에서 시작돼 나무가 전체적으로 죽어가는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약 100ha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경기도에서는 배 과수원의 피해를 포함하여 43ha의 피해를 입었다.
올해도 전국에서 발생할 것이라 예상돼 효과적인 조기 예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프로그램의 배포가 큰 의미가 있다고 농기원은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