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 문화약자와의 동행' 사업계획을 12일 발표했다. 시는 올해 총 18개 문화예술사업으로 △청소년·청년층 △경제적 취약계층 △신체적 불편함으로 문화예술을 누리는 데 어려움이 있는 시민 △일상 가까이 문화를 만날 시민 등을 지원한다.
'서울청년문화패스'·'공연봄날' 사업으로 청소년·청년층 지원
청소년·청년층 지원을 위해 총 100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주요사업으로 67억원이 투입된 '서울청년문화패스'가 첫발을 뗀다.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서울에 거주 중인 만 19세 청년(2004년생 내·외국인) 중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1인당 연간 20만원 상당의 문화이용권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청년들은 문화이용권으로 연극, 뮤지컬 등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지난해 처음 시행돼 학교 현장의 큰 호응을 얻은 '공연봄날' 사업은 규모가 확대된다. 공연봄날사업은 유년기 학생들에게 공연관람 추억을 선사하고 예술가에게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한 사업이다. 기존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대상이었으나 올해 초등학교 6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늘어난다. 총 6만6000여명의 학생들이 공연을 무료로 관람하게 된다. 지난 4일 첫 공연 이후 12월까지 24개의 공연장에서 총 45편, 200회 내외의 공연이 무료로 제공된다.
경제적 취약계층 45만명에 '서울문화누리카드' 발급…491억원 투입
관련기사
예술적 재능이 있는 청소년들이 경제적 이유로 꿈을 포기하지 않도록 지원하는 '저소득층 예술 영재 교육 지원사업'도 이어간다. 서울시가 2008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시행한 이후 올해로 16년째다. 올해는 기준 중위소득 100% 미만 가정의 음악·미술에 재능있는 청소년 260명(음악 155명, 미술 105명)을 대상으로 각 전공·분야별 교수의 이론 수업과 실기지도를 진행한다. 연주자와 현역 예술작가 등 국내외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한 특강도 개최한다. 사회 취약 계층 어린이 100명(음악 50명, 미술 50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캠프'도 열린다. 시는 지역아동센터 우선돌봄대상자 등을 모집해 운영할 방침이다.
신체약자 지원에는 총 5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특수학교 학생 박물관·미술관 관람 지원사업'이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활동보조인, 수어통역사 등 전문인력과 전세버스를 지원해 안전을 확보한다. 지난해보다 사업 기간을 늘려 총 32개 특수학교의 학생과 교원 6200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일상 가까이 문화를 만날 시민들을 위해 2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다양한 사업을 선보인다. △세종문화회관 '천원의 행복', '예술로 동행' △서울문화재단 '서울스테이지11' △서울시립교향악단 '찾아가는 시민공연' 등이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문화약자와의 동행'은 우리 사회의 문화소외계층을 줄이고, 심해지는 사회 갈등을 해결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