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3달 연속 '둔화' 국면으로 판단했다. 완만한 내수 회복세에도 수출과 설비 투자 등 제조업 경기가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탓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를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경기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 1월 '경기 둔화'를 언급한 이후 3개월 연속 같은 견해를 유지했다.
실제 수출·설비투자 부진 등 제조업 경기가 악화하고 있다. 2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3.2% 감소했고 3월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정보기술(IT) 제품 부진으로 작년 동월 대비 13.6% 줄었다.
내수 부문은 대면 활동 부문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2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로 0.7%, 소매판매는 5.3% 증가했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도 1년 전 대비 503.1% 늘었다. 지난달 백화점 매출액 증가율은 7.2%로 2월의 5.2%보다 높아졌다. 신용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도 9.0%로 2월의 8.1%보다 확대됐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2%로 2월의 4.8%보다 0.6%포인트 줄었다. 다만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4.8% 상승하면서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중국 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기대와 함께 통화 긴축에 따른 취약부문 금융불안과 러시아·우크라 전쟁 장기화 영향 등 하방위험이 교차하며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를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경기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 1월 '경기 둔화'를 언급한 이후 3개월 연속 같은 견해를 유지했다.
실제 수출·설비투자 부진 등 제조업 경기가 악화하고 있다. 2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3.2% 감소했고 3월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정보기술(IT) 제품 부진으로 작년 동월 대비 13.6% 줄었다.
내수 부문은 대면 활동 부문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2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로 0.7%, 소매판매는 5.3% 증가했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2%로 2월의 4.8%보다 0.6%포인트 줄었다. 다만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4.8% 상승하면서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중국 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기대와 함께 통화 긴축에 따른 취약부문 금융불안과 러시아·우크라 전쟁 장기화 영향 등 하방위험이 교차하며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