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진행된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한국의 경우 미국보다 디지털화가 훨씬 더 진전된 만큼, 모바일뱅킹 등을 통해 빠른 예금 이탈이 발생할 것으로 봤다. 이 과정에서 중앙은행의 규제 작동이 어려워진 점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과거에는 은행이 문을 닫아도 약 이틀 동안 예금을 분산하는 것이 가능했다“며” 하지만 지금은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이틀이 아니라 2시간 내에 해야 하는 수준이 됐다"고 말했다.
다만, SVB 사태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고 봤다.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가 크지 않은 게 이를 근거하는 요인이다.
현 금리 수준에 대해선 인플레이션을 자동으로 내릴 만큼 충분히 긴축적이지는 않다고 평가했다. 물가 불확실성과 관련해선 “OPEC+(비 OPEC 산유국 연합체)의 감산과 미국 중앙은행의 정책 등의 요인이 물가 압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