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도 한목소리로 유치를 염원하고 있다. ‘재외동포청 인천유치 시민운동본부’도 출범했다.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를 비롯해 33개 시민모임이 참여했다. 종교나 정치적 이해까지도 초월해 그야말로 범시민운동으로 뜻을 모았다. 인천시민 모두가 똘똘 뭉쳐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에 발 벗고 나선 지금까지 노력이 정부를 어느 정도 설득했는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 12일 정부와 여당은 재외동포청 소재지 선정과 재외동포 기본법 제정에 대한 점검 협의를 마치고 조만간 발표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에서 '재외동포 기본법'이 통과되면 재외동포청은 6월 5일 출범한다. 이에 차질 없도록 금명간 확정 발표하기로 했다.
또 협의에서는 인천이 유력한 후보 지역으로 부상한 가운데 신설 정부 조직인 만큼 업무 효율화와 접근성이 강조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이민 역사는 인천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02년 인천항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 한인 102명이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 역사적인 곳이기 때문이다.
특히 102명 중 87%인 89명이 제물포를 비롯한 인천 지역 주민들이었다. 이후 같은 해 6월까지 515명이 인천에서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다.
역시 이들 중 인천 지역 출신이 193명이나 된다. 이런 역사적·상징적 배경을 토대로 인천시는 재외동포청 유치에 일찍부터 발 벗고 나섰다.
필두는 유 시장이었다. 지난해부터 분주히 해외를 비롯해 중앙을 오가고 있다. 해외 출장에서도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하면서 동포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발품을 팔고 있다. 유 시장은 지난해 9월 중순 취임 후 첫 해외 출장길에 올라 싱가포르와 호주를 방문하면서 재외동포청 유치 활동을 본격화했다.
이어 10월엔 유럽 출장 중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도 유럽한인총연합회에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 지지를 호소했다. 12월에는 미국 하와이로 날아갔다. 미주 한인의 날 12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현지 한인 단체들을 만나며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 지지를 호소했다.
이 밖에도 우즈베키스탄, 홍콩, 라오스, 대만, 카자흐스탄 등 한인 단체에도 인천 유치를 설명했고 이들 한인 단체에서 인천을 지지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를 끌어내기도 했다.
유 시장은 지금까지 해외 한인 단체를 직접 찾아 재외동포청 유치 지지를 호소하는 '세일즈 외교'를 멈추지 않고 있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다. 이는 인천이 정부종합청사가 있는 대전, 재외동포재단 사무국이 있는 제주 등 다른 재외동포청 유치 경쟁 도시보다 정부 법령상 불리한 여건에 놓여 있기 때문에 택한 전략이기도 하다.
유 시장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있다. 국내외 행사는 물론 본인 SNS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재외동포청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중앙정부 설득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행안부는 물론 정치권과도 다양하게 접촉했다. 그러면서 750만 재외동포들이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는 최적지가 될 수 있도록 후속 대책도 마련 중이다.
유 시장이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는 역사적 의미 때문만이 아니다. 인천이 해외 상인들이 오가는 곳이자 인천국제공항에서 가까운 최적 입지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곳에 재외동포청이 설치되면 현재 영종도에 조성 중인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유엔 산하 국제금융기구인 녹색기후기금(GCF)과 같은 인천 지역 15개 국제기구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는 지역 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유치와 의미가 다른 효과다.
유정복 인천시장 판단처럼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는 역사성으로 보나 접근성으로 보나 극히 당연한 일이다. 유치를 신청한 타 지자체와 비교해 경쟁력도 월등히 높다. 따라서 재외동포청 소재지는 재외동포와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재외동포의 편의성과 업무 효율성, 소재지의 상징성, 지역균형발전 등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 결정은 역사적 정체성과 입지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는 인천이 답이다. 정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