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사관 수장인 대사의 발언을 놓고 대사관이 공식 성명을 통해 '개인적 견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등 이례적인 모습을 보였다.
미국과 갈등 속에서 유럽과 관계 개선을 위해 애쓰고 있는 중국이 사태 악화를 막기 위해 적극 진화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루사예 주프랑스 중국대사는 지난 21일 방송된 프랑스 TF1과의 인터뷰에서 "구소련 국가들은 국제법상 유효한 지위가 없다"며 "그들의 주권 국가 지위를 구체화한 국제적 합의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러시아가 지난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름반도가 우크라이나 영토냐는 질문에 루 대사는 "크름반도는 애초 러시아 영토였다"고 답했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옛 소련국들의 주권을 존중한다고 즉각 해명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전 소련국들의 주권국 지위를 존중한다"고 전했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그동안 옛 소련국들과 외교 관계를 맺은 이후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상호 관계를 유지해왔다"며 "일부 언론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잘못 해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프랑스 주재 중국 대사관은 24일(현지시간) "파리 주재 대사의 최근 발언은 정치적인 것이 아닌 개인적인 견해였다"면서 "그의 발언은 과도하게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고 일축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지난달 말부터 스페인, 프랑스, 유럽연합(EU) 등 유럽 정상급 인사 3명을 베이징에 잇따라 초청해 회담을 가졌다.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시주석의 대유럽 광폭 외교는 실제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방중 이후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양안 관계와 관련해 유럽의 소관이 아니며, 특정 진영의 전략을 추종할 필요가 없다는 식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평화 중재에서 중국의 역할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지적에도 유럽 국가들이 중국을 찾는 건 경제위기 속 활로를 찾기 위한 선택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만 해도 EU 내부에서는 “중국이 EU의 적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그러나 중국이 지난해 말 제로코로나 방역 정책을 폐기하고, 올해 초 시진핑 집권 3기 공식 출범 이후 경제 개방에 주력하자 유럽 국가들은 앞다퉈 중국을 찾기 시작했다.
중러 관계 증진에 대한 국제적 우려와 중국의 대만 위협에도 불구하고 유럽을 비롯한 세계 지도자들이 다시 베이징을 찾자, 시진핑은 이번 기회를 글로벌 패권을 재구성하는 통로로 활용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