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이후 급변하는 노동시장과 이로 인해 국내·외 물가가 받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한국은행은 25일 서울 중구에 있는 본부에서 ‘노동시장 상황과 인플레이션 압력’을 주제로 노동시장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서영경 금융통화위원이 모두발언을, 한국은행 조사국·경제연구원 관계자들이 주제발표를 맡았다.
이날 발표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이후 주요국에서 노동 공급 부족이 물가상승을 촉발했지만 한국에서는 고령층·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 그 영향이 크지 않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서 위원은 “한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팬데믹 이전 추세선을 상회하고 있지만 미국은 아직 노동 공급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다”며 “우리나라 노동 공급이 늘어난 이유는 고령층과 여성 주도로 고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도 한국에서 임금·물가 상승 압력이 낮았던 이유로 고령층·여성 경제활동 증가, 서비스업 노동수요의 완만한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노동시장에서 발생한 공급 부족 현상으로 임금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 미국과 달리 한국 노동시장에서는 충분한 공급이 이뤄져 물가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분석이다.
다만 국내에서 고령화가 이뤄지는 속도를 고려했을 때 중장기적으로 경제활동참가율이 감소세로 전환하고 임금 측면에서도 변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동원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장은 “급속한 고령화가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응해 노동 공급의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 개선에도 중점을 둬야 한다”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 개별특성에 맞춰 세밀하게 정책 시행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 위원도 “통화 정책 여건을 판단할 때 노동시장 상황을 보다 유의해서 보고 인구구조 변화가 중장기적으로 중립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며 “노동생산성 하락이 계속되면 물가·성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므로 노동시장 구조개선 노력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권에서는 통화정책을 다루는 한국은행이 노동시장 전반을 다루는 세미나를 개최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한은이 단순한 통화 정책을 넘어 중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주제로 연구를 확대했다는 것이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금통위원이 한국은행 실무진과 협업을 통해 중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주제로 연구를 확대했다”며 “앞으로 한국은행이 한국 경제에 관해 지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행은 25일 서울 중구에 있는 본부에서 ‘노동시장 상황과 인플레이션 압력’을 주제로 노동시장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서영경 금융통화위원이 모두발언을, 한국은행 조사국·경제연구원 관계자들이 주제발표를 맡았다.
이날 발표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이후 주요국에서 노동 공급 부족이 물가상승을 촉발했지만 한국에서는 고령층·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 그 영향이 크지 않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서 위원은 “한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팬데믹 이전 추세선을 상회하고 있지만 미국은 아직 노동 공급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다”며 “우리나라 노동 공급이 늘어난 이유는 고령층과 여성 주도로 고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도 한국에서 임금·물가 상승 압력이 낮았던 이유로 고령층·여성 경제활동 증가, 서비스업 노동수요의 완만한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노동시장에서 발생한 공급 부족 현상으로 임금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 미국과 달리 한국 노동시장에서는 충분한 공급이 이뤄져 물가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분석이다.
서 위원도 “통화 정책 여건을 판단할 때 노동시장 상황을 보다 유의해서 보고 인구구조 변화가 중장기적으로 중립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며 “노동생산성 하락이 계속되면 물가·성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므로 노동시장 구조개선 노력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권에서는 통화정책을 다루는 한국은행이 노동시장 전반을 다루는 세미나를 개최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한은이 단순한 통화 정책을 넘어 중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주제로 연구를 확대했다는 것이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금통위원이 한국은행 실무진과 협업을 통해 중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주제로 연구를 확대했다”며 “앞으로 한국은행이 한국 경제에 관해 지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