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는 이를 통해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를 이용하는 자율주행차의 안전도를 향상시켜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할 예정이다. 오는 27일부터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누구나 무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정밀도로지도는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을 도로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한 고정밀 전자지도다. 차선 단위의 차량위치 결정이 가능해 자율주행을 지원하도록 제작됐다.
자율주행뿐 아니라 고정밀 내비게이션, ADAS(차량 전자 제어 시스템) 등에 활용 가능하며, 도로 시설물 관리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일정에 맞춰 도심 및 주요도로를 대상으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등)의 특별광역시도 및 지방도(4차로 이상) 구축을 시작으로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등으로 범위를 확대해 제작한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 원장은 "정밀도로지도가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에 활용되도록 관련 민간·공공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