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확대되는 가운데, 올해 1분기에도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국내 수출액 3위 품목에 올랐다.
대한석유협회는 올해 1분기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한 118억49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원유 도입액 중 약 58%가 수출로 회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4사(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의 원유도입액은 205억8000만 달러로, 이중 57.6%를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했다. 회수율은 전년 동기 대비 2.2%포인트(p) 늘었다.
최근 국가 무역수지 적자가 13개월 연속 지속되고 있고, 올 1분기 누적 적자규모가 224억 달러인 상황에서 석유제품 수출이 무역수지 적자 완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석유제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하는 1분기 국가 주요품목 수출액 순위에서도 반도체, 자동차에 이어 3위를 기록해 지난해 1분기보다 한 계단 더 올라섰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 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은 전년동기대비 배럴당 2.6달러 감소한 15.6달러를 기록해, 원유가격 대비 제품가격 하락 폭이 더 커 수출 채산성도 약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대 수출상대국은 호주, 최다 수출품목은 항공유로 수출액 기준 석유제품 주요 수출상대국은 호주(18%), 싱가포르(12%), 미국(10%), 중국(9%), 일본(8%) 순으로 집계됐다.
호주에는 경유, 휘발유, 항공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늘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출상대국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수출액, 수출물량 증가율은 각각 29%, 39%를 기록했다.
과거 줄곧 1위를 차지했던 중국은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4위를 기록했다. 중국 내 자급률 상승 등으로 당초 기대했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해 대중 수출도 회복세가 크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국이 아시아 역내 국가인 가운데 미국이 지난해 6위에서 3위로 부상한 점이 눈에 띈다. 특히 대미 수출액은 1분기 사상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품목은 항공유로, 미국은 10년 연속 국내 항공유 최대 수출국이며, 올 1분기에도 국내 정유사는 항공유 수출물량 중 38%가량을 미국으로 수출했다.
석유제품별 수출액 비중은 경유가 43%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휘발유(20%), 항공유(19.8%), 윤활유(6%) 순으로 나타났다. 항공유는 물량, 금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53%, 46%에 달했다.
특히 항공유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여행객 감소로 석유제품 중 수출이 가장 많이 감소했으나, 올해는 글로벌 여행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수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올해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석유제품 수출 여건이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전략적 수출로 업계 수익성도 개선하고 원유 도입액의 60% 이상을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해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석유협회는 올해 1분기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한 118억49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원유 도입액 중 약 58%가 수출로 회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4사(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의 원유도입액은 205억8000만 달러로, 이중 57.6%를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했다. 회수율은 전년 동기 대비 2.2%포인트(p) 늘었다.
최근 국가 무역수지 적자가 13개월 연속 지속되고 있고, 올 1분기 누적 적자규모가 224억 달러인 상황에서 석유제품 수출이 무역수지 적자 완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 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은 전년동기대비 배럴당 2.6달러 감소한 15.6달러를 기록해, 원유가격 대비 제품가격 하락 폭이 더 커 수출 채산성도 약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대 수출상대국은 호주, 최다 수출품목은 항공유로 수출액 기준 석유제품 주요 수출상대국은 호주(18%), 싱가포르(12%), 미국(10%), 중국(9%), 일본(8%) 순으로 집계됐다.
호주에는 경유, 휘발유, 항공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늘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출상대국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수출액, 수출물량 증가율은 각각 29%, 39%를 기록했다.
과거 줄곧 1위를 차지했던 중국은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4위를 기록했다. 중국 내 자급률 상승 등으로 당초 기대했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해 대중 수출도 회복세가 크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국이 아시아 역내 국가인 가운데 미국이 지난해 6위에서 3위로 부상한 점이 눈에 띈다. 특히 대미 수출액은 1분기 사상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품목은 항공유로, 미국은 10년 연속 국내 항공유 최대 수출국이며, 올 1분기에도 국내 정유사는 항공유 수출물량 중 38%가량을 미국으로 수출했다.
석유제품별 수출액 비중은 경유가 43%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휘발유(20%), 항공유(19.8%), 윤활유(6%) 순으로 나타났다. 항공유는 물량, 금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53%, 46%에 달했다.
특히 항공유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여행객 감소로 석유제품 중 수출이 가장 많이 감소했으나, 올해는 글로벌 여행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수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올해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석유제품 수출 여건이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전략적 수출로 업계 수익성도 개선하고 원유 도입액의 60% 이상을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해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