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년을 맞은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국가유산 체제 전환에 걸맞은 미래 전략을 세우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최 청장은 9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국가유산 체제 전환을 위한 법제 개편을 빠른 시일 내 마무리하고, 연말까지 국가유산 정책 방향을 담은 미래전략 비전을 발표하겠다”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래 60년 간 유지해 온 문화재 명칭과 분류체계를 전면 개편한 ‘국가유산’ 체제로 전환 중이다.
올해 2월 국가유산 체제 중 ‘자연유산’을 관장하게 될 ‘자연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먼저 통과한 데 이어 지난 4월 27일 ‘국가유산기본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됨에 따라 국가유산 체제 전환의 기틀이 마련됐다.
국제 기준에 맞춘 조치다. 유네스코는 현재 세계유산(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무형유산·기록유산으로 분류를 하고 있다.
국가유산 체제로 전환하면 문화재청도 국가유산청으로, 교육부와의 협의를 통해 교과서의 문화재도 국가유산으로 바뀌게 된다. 지자체 운영 조례 제·개정 및 안내판 교체 등도 이뤄진다.
문화재청은 미래 비전과 기본방향, 추진 전략 등을 담은 ‘국가유산 미래비전 선포식’을 오는 12월에 계획 중이다.
지난 1년에 대해 최 청장은 “국가유산 체제 전환 기틀을 마련했고, ‘한국의 탈춤’이 우리나라 22번째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는 쾌거를 이루었다”라며 “‘독서당계회도’, ‘일영원구’, ‘대동여지도’ 등우수한 가치를 지닌 국외 소재 우리 문화유산 10건 50점을 환수했다”라고 돌아봤다.
이날 최 청장은 2023년 역점 추진과제 8개를 밝혔다. 규제 혁신과 관련해 문화유산 영향 진단 사전 컨설팅을 시범 시행하는 등 행정절차를 단축한다. 문화유산 국외 반출 규제도 개선해 우리 문화유산의 국외 활용성을 높이고, 창작자의 활발한 예술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복원 중인 광화문 월대는 오는 10월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며, 작년 말에 재건한 덕수궁 돈덕전도 이달 중 현판 제막식을 하고 9월에 내부 전시실을 개관한다.
최 청장은 “지난 1일 구성한 제31대 문화재위원회는 국가유산 보존·활용과 관련된 조사·심의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했다”라고 설명했다. 전문성과 연속성을 살리기 위해 연임제한 규정을 삭제했다.
또한,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유산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과 국외 문화유산의 전략적인 환수와 가치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 계획도 밝혔다. 미주, 일본에 이어 한국 문화유산이 다수 분포한 유럽 내 거점기관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한국은 총 53건의 유네스코 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10위의 유네스코 유산 강국이다. 최 청장은 “이달 중에 ‘4.19혁명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기록물’ 2건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될 예정이며, 9월에는 ‘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 등재를 기다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올해 10월에는 평창 오대산에 국립조선왕조실록전시관을 개관한다. 조선왕조 대표 기록유산인 오대산사고본 실록·의궤를 현지 보존하고 전시한다.
한편, 문화재청은 지난해 5월 청와대가 개방된 이후 대통령실에서 권한을 위임받아 임시로 관리해왔으나, 지난 3월 31일 문화체육관광부가 관리 주체로 변경됐다.
최 청장은 청와대 권역을 사적으로 지정할 수 있을지에 관한 질문에 "청와대 권역은 오랜 기간 개방이 안 되었고 조사도 아직 안 된 상황이다. 현 단계에서의 지정은 어렵다"라면서도 "사적으로 지정되려면 유물의 중요성이 밝혀져야 한다. 경복궁처럼 시간을 두고 중요한 부분을 발굴한다면 역사적, 문화적으로 유용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