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료방송 시장은 성장 정체기를 맞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달 발표한 2022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 회선은 3625만 회선(기기, 단자 기준)으로 같은 해 상반기 대비 24만 회선 증가하는 데 그쳤다. 매 반기마다 1%대를 이어오던 가입 회선 증가율은 처음으로 1% 미만인 0.67%로 떨어졌다.
유료방송이란 방송 시청에 대해 직접적인 대가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케이블TV, 위성방송, 인터넷 TV(IPTV) 등이 대표적이다. 방송 전파를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지상파와 달리, 사업자와 계약을 맺어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유료방송 시장은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의 등장으로 안팎으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하지만 포화상태로 인해 유입재원은 감소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2년 방송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상파 사업자의 재송신료 매출액은 2019년 3613억원에서 2021년 4079억원으로 늘었다. 채널 사용 사업자(PP)의 방송프로그램 제공 매출도 2019년 8317억원에서 2021년 9390억원으로 증가했다.
반면 유료방송 사업자의 수신료는 IPTV를 제외하곤 모두 하락했다. 케이블TV 등 종합유선방송 사업자(SO)의 수신료는 2019년 7629억원에서 2021년 6509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위성방송도 같은 기간 3046억원에서 2920억원으로 줄었다. 이 기간 IPTV 사업자는 2조4348억원에서 2조7151억원으로 늘었다.
IPTV를 제외하고 성장이 정체된 유료방송 사업자 입장에선 수익구조가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셈이다. 유료방송 업계에서는 이처럼 가입 회선 확장이 정체돼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 수급 비용이 지속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난 5월 1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에서 김용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는 "과거 콘텐츠 사업자는 배타적 콘텐츠 공급을 통해 대형 사업자를 기반한 이윤 극대화를 추구했다면, 이제는 프로그램 제공 여부가 아닌 프로그램 대가를 둘러싼 논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무료 주문형 비디오(VOD) 시장에서 지상파 콘텐츠 이용 건수 역시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학계의 설명이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지상파 방송과 플랫폼을 제공하는 유료방송 사업자 사이에 상호 기여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학계에선 유료방송 사업자가 인수합병 등으로 대형화되면서 시장 구조가 고착화되면 콘텐츠 대가를 둘러싼 분쟁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콘텐츠 거래 시장에서 지상파 중심의 방송정책을 재검토하고, 채널 대가 산정 기준에 대해 신중한 접근도 필요하다는 것이 학계의 의견이다. 특히 중소 PP와 중소 SO는 시청률 등 기초적인 데이터 마련에도 어려움이 있어, 지급 기준에 대한 구체성과 합리성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시장에서 해결 방안으로는 채널 성과와 연동한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 정책이 거론된다. 가입 회선 증가 정체 상황 속에서 프로그램 사용료의 과도한 인상은 시장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료 매출과 연동한 사용료 배분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무료 VOD에 대한 사용료 재산정 역시 개선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유료방송 플랫폼 내에서 무료 VOD를 통한 가입 회선 유입 효과가 줄어드는 만큼, 협상력이 아닌 시청률 등 데이터에 기반한 사용료 협상 기조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 밖에도 방송법 개정을 통해 지상파 채널 대가 조정위원회를 신설하고, 공정한 거래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학계는 덧붙였다.
유료방송이란 방송 시청에 대해 직접적인 대가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케이블TV, 위성방송, 인터넷 TV(IPTV) 등이 대표적이다. 방송 전파를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지상파와 달리, 사업자와 계약을 맺어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유료방송 시장은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의 등장으로 안팎으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하지만 포화상태로 인해 유입재원은 감소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2년 방송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상파 사업자의 재송신료 매출액은 2019년 3613억원에서 2021년 4079억원으로 늘었다. 채널 사용 사업자(PP)의 방송프로그램 제공 매출도 2019년 8317억원에서 2021년 9390억원으로 증가했다.
IPTV를 제외하고 성장이 정체된 유료방송 사업자 입장에선 수익구조가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셈이다. 유료방송 업계에서는 이처럼 가입 회선 확장이 정체돼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 수급 비용이 지속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난 5월 1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에서 김용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는 "과거 콘텐츠 사업자는 배타적 콘텐츠 공급을 통해 대형 사업자를 기반한 이윤 극대화를 추구했다면, 이제는 프로그램 제공 여부가 아닌 프로그램 대가를 둘러싼 논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무료 주문형 비디오(VOD) 시장에서 지상파 콘텐츠 이용 건수 역시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학계의 설명이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지상파 방송과 플랫폼을 제공하는 유료방송 사업자 사이에 상호 기여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학계에선 유료방송 사업자가 인수합병 등으로 대형화되면서 시장 구조가 고착화되면 콘텐츠 대가를 둘러싼 분쟁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콘텐츠 거래 시장에서 지상파 중심의 방송정책을 재검토하고, 채널 대가 산정 기준에 대해 신중한 접근도 필요하다는 것이 학계의 의견이다. 특히 중소 PP와 중소 SO는 시청률 등 기초적인 데이터 마련에도 어려움이 있어, 지급 기준에 대한 구체성과 합리성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시장에서 해결 방안으로는 채널 성과와 연동한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 정책이 거론된다. 가입 회선 증가 정체 상황 속에서 프로그램 사용료의 과도한 인상은 시장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료 매출과 연동한 사용료 배분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무료 VOD에 대한 사용료 재산정 역시 개선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유료방송 플랫폼 내에서 무료 VOD를 통한 가입 회선 유입 효과가 줄어드는 만큼, 협상력이 아닌 시청률 등 데이터에 기반한 사용료 협상 기조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 밖에도 방송법 개정을 통해 지상파 채널 대가 조정위원회를 신설하고, 공정한 거래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학계는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