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가 오는 24일 3차 발사를 앞두고 막바지 준비에 한창이다. 발사 당일까지 지속적으로 점검이 진행되는 가운데, 발사 성공을 통해 우리 기술로 실용 위성들이 우주로 나갈 수 있을지 여부가 관심이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 최종 점검과 총조립을 진행하며 조립 작업을 마무리했다. 오는 23일 발사대 이동을 앞두고 마지막 준비 과정에 들어간 셈이다.
누리호는 지난 17일 기존에 조립돼 있던 1·2단과 고객사들의 위성 8기를 실은 3단을 합치는 작업을 끝냈고, 발사 도중 1·2단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단분리장치 장착도 마쳤다.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점검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점검 과정은 발사 당일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누리호는 이후 22일 발사대 이동차량인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오르고, 23일 오전 트랜스포터에 실려 조립동에서 1.8km 떨어진 제2발사대로 이동한다. 약간의 충격이라도 방지하기 위해 시속 1.5km 수준으로 매우 천천히 이동한다. 이후 발사 당일인 24일 연료·전기 계통 등을 중심으로 모든 부분을 종합 점검한 뒤 발사를 위한 최종적인 절차에 돌입한다.
이번 발사의 핵심은 기존 1·2차 발사와 달리 실제 상용 위성까지 함께 발사한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위성모사체와 성능검증위성만이 탑재됐다. 이번에 누리호에 실리는 8기의 위성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제작한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비롯해 부탑재위성인 도요샛 위성 4기(한국천문연구원), 3곳의 민간 업체들이 각각 만든 큐브위성 3기 등이다. 즉 누리호가 실용급 위성 발사체로서 데뷔전을 갖는 셈이다.
위성 발사가 목표인 만큼 기존 1·2차 발사와 여러 차이점이 있다. 우선 발사 예정시각을 오후 6시24분으로 기존 발사보다 두 시간여 정도 늦췄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전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태양전지에 최대한 많은 에너지를 축적해야 하고, 이에 태양동기궤도에서 항상 빛을 받을 수 있는 시점에 발사 시간을 맞췄다. 누리호의 목표 고도 역시 기존 700km에서 550km로 조정됐다.
또 7개의 위성을 순차적으로 분리해야 하는 만큼 이들 위성이 정확한 시점에 정확한 간격으로 분리되는지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이륙 783초 후 주 탑재위성이 분리되고, 이후 20초 간격으로 7개 부탑재위성이 각각 하나씩 분리돼야 한다. 이를 토대로 산정한 총 비행시간은 1138초(18분58초)로 지난해 6월 2차 발사보다 33초 길다.
발사 예정시각은 오후 6시24분이지만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이를 앞당기거나 미룰 수 있다. 다만 발사 가능 시간이 예정시각 전후 30분이기 때문에, 5시54분부터 6시54분 사이에 발사하지 못하면 발사일을 미뤄야 한다. 가장 큰 변수는 기상 상황이다. 항우연에 따르면 당일 비가 내린다고 해도 발사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강풍은 발사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비가 올 경우 번개나 강풍 등이 동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아무래도 맑은 날씨인 것이 부담이 덜하다.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그 동안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며 많은 기술적 노하우를 축적했지만, 아직 누리호 비행은 3번째에 불과하다"며 "3차 발사가 성공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을 놓지 않고 철저히 점검하고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 최종 점검과 총조립을 진행하며 조립 작업을 마무리했다. 오는 23일 발사대 이동을 앞두고 마지막 준비 과정에 들어간 셈이다.
누리호는 지난 17일 기존에 조립돼 있던 1·2단과 고객사들의 위성 8기를 실은 3단을 합치는 작업을 끝냈고, 발사 도중 1·2단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단분리장치 장착도 마쳤다.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점검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점검 과정은 발사 당일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누리호는 이후 22일 발사대 이동차량인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오르고, 23일 오전 트랜스포터에 실려 조립동에서 1.8km 떨어진 제2발사대로 이동한다. 약간의 충격이라도 방지하기 위해 시속 1.5km 수준으로 매우 천천히 이동한다. 이후 발사 당일인 24일 연료·전기 계통 등을 중심으로 모든 부분을 종합 점검한 뒤 발사를 위한 최종적인 절차에 돌입한다.
위성 발사가 목표인 만큼 기존 1·2차 발사와 여러 차이점이 있다. 우선 발사 예정시각을 오후 6시24분으로 기존 발사보다 두 시간여 정도 늦췄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전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태양전지에 최대한 많은 에너지를 축적해야 하고, 이에 태양동기궤도에서 항상 빛을 받을 수 있는 시점에 발사 시간을 맞췄다. 누리호의 목표 고도 역시 기존 700km에서 550km로 조정됐다.
또 7개의 위성을 순차적으로 분리해야 하는 만큼 이들 위성이 정확한 시점에 정확한 간격으로 분리되는지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이륙 783초 후 주 탑재위성이 분리되고, 이후 20초 간격으로 7개 부탑재위성이 각각 하나씩 분리돼야 한다. 이를 토대로 산정한 총 비행시간은 1138초(18분58초)로 지난해 6월 2차 발사보다 33초 길다.
발사 예정시각은 오후 6시24분이지만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이를 앞당기거나 미룰 수 있다. 다만 발사 가능 시간이 예정시각 전후 30분이기 때문에, 5시54분부터 6시54분 사이에 발사하지 못하면 발사일을 미뤄야 한다. 가장 큰 변수는 기상 상황이다. 항우연에 따르면 당일 비가 내린다고 해도 발사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강풍은 발사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비가 올 경우 번개나 강풍 등이 동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아무래도 맑은 날씨인 것이 부담이 덜하다.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그 동안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며 많은 기술적 노하우를 축적했지만, 아직 누리호 비행은 3번째에 불과하다"며 "3차 발사가 성공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을 놓지 않고 철저히 점검하고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