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을 등에 업은 해외 빅테크들이 금융권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애플이 예금 서비스를 시작해 '금융의 BTS'로 거듭난 사례가 대표적이다. 국내 금융권도 해외 빅테크에게 시장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금융권이 생존 전략으로 AI를 지목하자 금융당국이 AI 활성화를 위한 지원에 나섰다.
2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위는 AI 신기술 활용 활성화를 위해 금융데이터 규제개선안을 만든다. 신장수 금융위 금융데이터 정책과장은 “올해 3분기 내에 규제 개선안을 만들어 관련 법령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금융데이터 규제혁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연구원, 신용정보원 등 관련 기관과 KB금융지주, 신한은행 등 업계가 한자리에 모여 머리를 맞댔다. 앞으로 해당 TF를 수시로 열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해외 빅테크가 공격적인 AI투자로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애플은 막대한 자금을 내세워 AI 기업을 통째로 사들이는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애플의 인수합병(M&A) 중 AI와 관련된 비중은 45%에 달한다. 이는 미국 5대 빅테크(구글·애플·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메타) 중 가장 높은 수치다.
국내 금융권은 애플과 같은 해외 빅테크의 공습을 막기 위해 은행 서비스와 AI 기술의 접목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NH농협은행은 AI 거버넌스(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전문업체로부터 컨설팅을 받아 본격적인 AI 활용을 준비 중이다.
최근 화제가 된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도입하려는 은행의 시도도 포착됐다. 우리은행은 생성형 AI가 다수의 고객에게도 낮은 비용으로 개인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AI 고도화를 위한 학습에 필요한 대규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체계도 구축 중이다.
핀테크 기업인 카카오페이도 생성형 AI 활용에 적극적이다. 카카오페이는 자사 앱이 개별 고객의 금융비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생성형 AI를 활용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신원근 대표는 "개인 맞춤형 AI 기술을 활용해 가입한 보험으로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을 파악하고 수령까지 가능한 ‘내 손안의 금융비서’를 탄생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카카오 공동체가 준비 중인 한국어 특화 생성형 AI 모델인 ‘코GPT’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