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빠진 청년 고용상황에서도 청년들은 여전히 대기업·공공기관 위주의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조사’ 결과,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여전히 대기업(64.3%), 공공부문(공공기관, 공무원 등)(44.0%), 중견기업(36.0%) 순으로 나왔다.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대한상의 측은 “청년들의 대기업·공공부문 선호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고착시키고, 청년층 일자리 사정을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2년 3분기 기준 적극적 구인활동에도 채용 못한 미충원인원이 18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며, 이는 대부분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17만3000명, 93.7%)에서 발생했다. 반면 ‘4월 고용동향’(통계청)에 따르면 청년취업자 수는 청년인구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전년동월 대비 5만2000명이 줄었다.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선호는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청년들의 부정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에게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업무량에 비해 낮은 처우’(63.3%), ‘워라밸 실현 어려움’(45.3%), ‘불투명한 미래성장’(43.7%), ‘낮은 고용안정성 우려’(39.3%),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37.0%) 등 순이었다.
청년구직자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임금 및 복지수준’(86.7%)을 꼽았다. 이어 ‘근로시간(워라밸)’(70.0%), ‘근무환경(안정성, 업무강도)’(65.7%), ‘고용안정성’(57.0%), ‘기업위치’(44.0%)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하는 신입사원 초봉에 대해서는 ‘3000~350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고 ‘3000만원 미만’(20.0%). ‘3500~4000만원 미만’(19.0%) 순으로 뒤따랐다.
최근 대기업 생산직 채용에 수만명의 청년지원자들이 몰린 이유도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 때문이라는 응답이 71.7%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대기업 소속직원이라는 평판’(44.3%). ‘고용안정성’(37.3%). ‘근무시간 등 우수한 근무환경’(31.7%) 등을 꼽았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수출감소가 7개월째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경기둔화, 대중교역 악화 등 수출조건이 개선여지가 보이지 않고 있어 청년고용시장은 한동안 얼어붙을 수 있다”며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관건으로 적극적인 규제와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여력을 넓혀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조사’ 결과,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여전히 대기업(64.3%), 공공부문(공공기관, 공무원 등)(44.0%), 중견기업(36.0%) 순으로 나왔다.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대한상의 측은 “청년들의 대기업·공공부문 선호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고착시키고, 청년층 일자리 사정을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2년 3분기 기준 적극적 구인활동에도 채용 못한 미충원인원이 18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며, 이는 대부분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17만3000명, 93.7%)에서 발생했다. 반면 ‘4월 고용동향’(통계청)에 따르면 청년취업자 수는 청년인구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전년동월 대비 5만2000명이 줄었다.
청년구직자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임금 및 복지수준’(86.7%)을 꼽았다. 이어 ‘근로시간(워라밸)’(70.0%), ‘근무환경(안정성, 업무강도)’(65.7%), ‘고용안정성’(57.0%), ‘기업위치’(44.0%)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하는 신입사원 초봉에 대해서는 ‘3000~350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고 ‘3000만원 미만’(20.0%). ‘3500~4000만원 미만’(19.0%) 순으로 뒤따랐다.
최근 대기업 생산직 채용에 수만명의 청년지원자들이 몰린 이유도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 때문이라는 응답이 71.7%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대기업 소속직원이라는 평판’(44.3%). ‘고용안정성’(37.3%). ‘근무시간 등 우수한 근무환경’(31.7%) 등을 꼽았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수출감소가 7개월째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경기둔화, 대중교역 악화 등 수출조건이 개선여지가 보이지 않고 있어 청년고용시장은 한동안 얼어붙을 수 있다”며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관건으로 적극적인 규제와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여력을 넓혀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