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작성하고 있는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1983년 통계작성 이래 2021년까지 매년 사망원인 1위는 악성 신생물, 즉 암이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21년 암으로 사망한 사람의 숫자는 8만2688명으로 2021년 전체 사망자(31만7680명)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암으로 사망한 사람의 숫자가 사망원인 2위에서 4위까지인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을 합친 숫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타까운 것은 암에 의한 사망률이 1983년 통계 작성 이래 꺾이지 않고 상승추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1983년 암에 의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72명 수준이었으나, 1992년 100명 수준을 넘어섰고, 2021년에는 무려 161명에 달하고 있다.
필자는 지난 12일 경기도 고양시의 국립암센터를 방문해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와 국립암센터의 임상자료를 연계한 암 연구 경과에 대한 설명과 함께 연구진의 향후 연구 계획에 대한 의견을 듣는 등 앞으로의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통계청도 지난해부터 이 사업에 참여해 국립암센터에 암 환자에 대한 사망원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통계청이 데이터를 제공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효과는 벌써 가시화하고 있다.
그간 연구진은 국립암센터에서 치료받다 숨진 환자만 제한적으로 분석해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통계청이 보유한 환자의 사망원인 정보까지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좀 더 많은 환자를 추적 연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국립암센터의 사망자료만 이용하는 경우 전체 사망자의 30~50%만 분석할 수 있어 과소 추정될 위험이 있었던 반면, 통계청의 사망원인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전체 사망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적 추정이 가능해졌다.
나아가 통계청은 6월에 국립암센터의 마이크로데이터 이용센터를 통계데이터센터로 확대 개편하고 기존 사망원인 정보에 더하여 통계등록부를 포함한 다양한 통계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통계등록부란 인구총조사 등 통계청의 자체 조사자료와 대법원, 행정안전부, 4대 보험 등 공공기관에서 입수한 행정자료를 연계·융합해 인구, 가구, 취업활동 등 분야별로 기본정보를 수록한 통계자료를 말한다.
이를 통해 보건복지부가 구축하는 암 공공라이브러리에 사망원인 정보 외에도 다양한 통계 데이터까지 연계가 되면 암 환자의 사망원인 및 시점 등 예후와 관련된 분석을 넘어서서, 인구·가구 특성별, 지역별, 직업군별 등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및 경제적 특성을 반영한 입체적인 암 발생과 위험요인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암으로 고통받고 있거나 위험을 안고 있는 많은 분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바야흐로 우리는 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다. 데이터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이 되고 있고, 데이터를 어떻게 잘 활용하는지가 국가는 물론 기업과 개인의 경쟁력을 결정하고 있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다. 통계청은 앞으로 흩어져 있는 국가 데이터를 엮어 숨겨진 가치를 찾아주고 국민의 일상에 행복을 더해주는 역할을 배가해 나갈 것이다. 정부의 이번 공공분야 암 데이터 구축사업이 이러한 노력의 시작을 알려주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