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간편결제 업계의 수수료 도입이 본격화하면, 연간 규모가 1000억원을 넘길 거란 전망이 나왔다. 이 부담이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우려가 크다.
29일 한국은행의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휴대전화 제조사를 통한 간편결제 이용금액은 일 평균 1853억2000만원이었다.
이 시장은 사실상 삼성전자의 ‘삼성페이’가 독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그간 관련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았지만, 애플페이(애플의 비접촉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이후 입장을 선회했다. 만약 작년 결제액에 애플페이 수수료율인 0.15%를 적용하면, 연간 1014억원 규모다. 다만 삼성전자는 아직까진 수수료 유료화 여부와 방식 모두 결정된 것이 없단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만약 수수료 유료화가 현실화하면 이 부담은 소비자에게 넘겨질 수 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유료화 이후 발생한 비용부담은) 카드사를 이용하는 가맹점보단 개인 회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며 “카드사들은 삼성페이에 지급하게 된 수수료 부담을 보전하기 위해 회원 부과 혜택 축소 등의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계기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다른 대형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자들이 수수료 확보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전자금융업자를 통한 일 평균 간편결제 이용액은 3511억5000만원으로, 0.15% 수수료를 매길 시 연 1922억원에 이른다.
시장 내 전자금융업자 간편결제는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 외에도 토스, 스마일페이, SSG페이, 배민페이 등이 있다.
29일 한국은행의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휴대전화 제조사를 통한 간편결제 이용금액은 일 평균 1853억2000만원이었다.
이 시장은 사실상 삼성전자의 ‘삼성페이’가 독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그간 관련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았지만, 애플페이(애플의 비접촉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이후 입장을 선회했다. 만약 작년 결제액에 애플페이 수수료율인 0.15%를 적용하면, 연간 1014억원 규모다. 다만 삼성전자는 아직까진 수수료 유료화 여부와 방식 모두 결정된 것이 없단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만약 수수료 유료화가 현실화하면 이 부담은 소비자에게 넘겨질 수 있다.
이를 계기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다른 대형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자들이 수수료 확보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전자금융업자를 통한 일 평균 간편결제 이용액은 3511억5000만원으로, 0.15% 수수료를 매길 시 연 1922억원에 이른다.
시장 내 전자금융업자 간편결제는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 외에도 토스, 스마일페이, SSG페이, 배민페이 등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