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6일 OECD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2021년 기준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 비중이 20%대에 그쳤다. 호주·오스트리아·체코·프랑스 등과 함께 출생아 100명당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은 10명도 되지 않았다.
국회 입법조사처도 2020년 OECD 자료를 인용해 한국은 출생아 100명당 여성 21.4명, 남성 1.3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며 OECD 19개 국가 중 육아휴직 사용 일수가 가장 적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제도적으로 OECD에서 남성 유급 육아휴직 기간이 가장 긴 나라다. OECD 홈페이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 아빠들이 유급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은 52주다. 프랑스(26주)·아이슬란드(20주)보다 2배 이상 길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 촉진을 위해 육아휴직 남성 할당제 시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OECD는 "아이슬란드는 2000년대 초 '아빠 엄마 쿼터'를 도입하자 3%에 불과했던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중이 약 45%까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스웨덴·아이슬란드·포르투갈·노르웨이 등 육아휴직 남성 할당제를 시행하는 나라들과 덴마크는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중이 40%를 넘는다. 룩셈부르크는 약 53%로 남성이 여성보다 육아휴직을 많이 사용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