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대 포털 운영사인 네이버와 다음이 뉴스 댓글 서비스를 8일 일제히 개편했다. 허위 정보 유포와 비방과 광고 등으로 도배됐던 기존 댓글 서비스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막는 포털의 '과도한 댓글 검역'이라며 이번 서비스 개편에 반발하고 있다.
다음 뉴스는 기존 댓글 남기기에서 실시간 채팅 형태로 댓글 서비스를 개편했다. 기사 내용에 대해 대화를 주고받듯 가볍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방식이다. 단 이 서비스는 뉴스 출고 후 24시간만 적용되며 이 시간이 지나면 타임톡 내용은 모두 삭제된다. 허위 정보 유포나, 욕설, 비상 광고 등의 댓글이 사라지지 않는 기존 댓글 시스템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욕설이나 불쾌감을 주는 메시지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고 자동으로 가려주는 '세이프봇' 기능을 모든 댓글에 일괄 적용하기로 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댓글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다음이 사실상 기존 댓글 서비스를 접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음 관계자는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를 유지하면서도 일부 댓글이 과대 대표되거나 부적절한 댓글이 사라지지 않는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도 이날 댓글 게시판 운영 정책을 변경했다. 댓글 작성이 제한된 속칭 '악플러'의 아이디 일부와 닉네임, 이용 제한 상태를 노출하고, 그들이 지금까지 작성한 댓글들도 다른 사람들이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댓글창을 오염시키는 '악플러'를 노출해 기존 댓글 시스템의 부작용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또한 댓글 작성 제한이 풀린 이용자 대상으로 '올바른 댓글 작성'을 주제로 한 퀴즈풀기 절차를 제공할 방침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해당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명시된 댓글이용 제한 기간보다 그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네이버와 다음이 댓글 문화 개선을 이번 서비스 개편의 주요 이유로 들었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최근 정치권의 '포털 때리기'를 의식한 조치로 보고 있다. 실제 여권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에서는 포털 뉴스 서비스가 여론을 왜곡하는 등 부작용이 많아 이를 제어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사실상 포털이 언론 위에 군림한다는 비판이 나오게 한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의 활동 중단도 포털의 정치권 눈치보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포털 업계 한 관계자는 "정치권의 비판이 이어지자 포털 뉴스 서비스의 영향력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런 기조는 내년 총선이 치러지기까지 계속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포털 뉴스 서비스의 댓글 정책 변경에 반발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기존 댓글 서비스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겠지만,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막는 지나친 검열이라는 지적 때문이다. 실제 포털의 댓글 정책 변경이 알려진 뒤 일부 누리꾼을 중심으로 "(댓글) 전부 검열한다는 얘기네" "표현의 자유를 막겠다는 거냐" 등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상대방 헐뜯는 악성 댓글 안 봐서 좋다" 등의 긍정적 반응도 감지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