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호 세종시장이 “행정수도, 미래전략수도라는 자존심에 걸맞은 행사로 2025년 국제정원도시박람회를 준비하고 있다”며 “시민참여를 통해 도시 자체가 정원인 세종시를 만들어 나가자”고 제안했다.
최 시장은 지난 7일 시청 집현실에서 열린 정원도시 시민참여 활성화 간담회에서 정원산업 육성을 위한 포부를 밝히고, 2025 박람회 성공 개최를 위해 시민과 민간 단체의 적극적인 동참을 요청했다.
최 시장은 “국가 경제소득에 따라 국민이 즐기는 도락이 있다. 첫 단계가 자동차이고 다음이 골프, 승마, 요트 순”이라며 “도락의 마지막 최상위단계가 바로 가드닝, 즉 정원 가꾸기”라고 소개했다.
세종시는 정원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가 풍부하다.
녹지율은 52%에 달하고 금강과 중앙공원, 국립세종수목원, 베어트리파크, 전의 조경수마을 등 전국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빼어난 정원 기반을 갖추고 있다.
최 시장은 “정원 관련 기반이 우리가 가진 큰 자원 중의 자원이자 우리만이 가꿀 수 있는 잠재력”이라며 “이를 연계하면 관광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수단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최 시장은 최상위단계의 국민이 즐기는 도량으로써 경제적 효과도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순천만 정원박람회가 2300억원을 투자해 준비했지만, 입장료 수익과 먹거리 소비, 숙박 등 후방산업을 통해 기대하는 경제적 효과는 2조4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세종시는 C.I.B 정원도시기구로부터 국제 인증을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전 세계 정원도시가 참여하는 2025 국제정원도시박람회를 추진할 방침이다.
최 시장은 “정원도시박람회를 통해 세종을 알리면 호텔이 만들어지고 장사가 되고 사람이 찾아오게 될 것”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선 정원과 호텔과 컨벤션 산업을 일으키자는 생각에서 정원도시박람회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