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6/08/20230608175729559855.png)
경남은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 격전지이지만 유공자 수는 전체의 6.7%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제405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도정질문에 나선 백태현 의원(창원2, 국민의힘)은 “경남은 3·1운동이 시작된 이래 만세운동이 가장 길고 격렬했던 지역 중 하나지만 독립유공자 비율이 매우 저조하다”며, “경남도의 적극행정을 통해 미서훈 독립운동가들이 더 많이 서훈돼야 한다”고 제언했다.[그래픽=박연진]
제405회 경남도의회 정례회 도정질문에 나선 백태현 의원이 이같이 지적하며 경남도의 적극행정을 통해 미서훈 독립운동가들이 더 많이 서훈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제 경남은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 격전지이지만 유공자 수는 전체의 6.7%에 불과하다.
특히 백 의원은 ‘청년독립회’ 대장으로서 독립운동에 결정적이고 주도적 역할을 하신 고 백정기 선생과 고 오경팔 선생의 사례를 들며, 권한이 없는 유족 분들이나 이미 고문으로 돌아가신 분들이 자료를 찾아 서훈되기 어려운 점을 지적했다.
또한 백 의원은 “보훈부 승격으로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문서증거주의를 극복해 서훈될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며, “지금의 타이밍이 경남도의 보훈체계를 재점검할 수 있는 적기이자 서훈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이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완수 지사는 “객관적 입증자료가 부족해 서훈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조속히 서훈 받을 수 있도록 시・군과 함께 적극 노력할 것”이라며, “경남의 미서훈 독립운동가 1762명에 대해서는 인명록을 만들어 마지막 한분까지 찾아 예우한다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서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백 의원은 2021년·2022년 연속 4등급을 기록한 지역안전지수 범죄분야에 대한 도정질문을 이어갔다.
백 의원은 지역안전지수 범죄분야에 대해 “가중치가 50%이며 지수등급 변화에 지대한 영향이 있는 위해지표가 비교적 양호하지만 지자체 개선 노력에 따라 바뀔 수 있는 다른 지표들이 취약한 것은 지수개선의 노력이 부족한 것”이라고 일갈했다.
실제 지자체 개선 노력으로 변동이 어려운 취약지표를 제외한 경감지표와 의식지표 모두 경남은 전국 도 평균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백 의원은 “지자체 입장에서 지역안전지수는 ‘수능시험 성적표’나 ‘건강검진 결과표’를 받아보는 것과 같다”며, “2년 연속 범죄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도시라는 성적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남도는 “올해 마련한 ΄지역안전지수 범죄분야 개선방안΄에 따라 범죄예방 CCTV를 확충하고, 경남경찰청과 함께 아동안전지킴이집수와 자율방범대원수를 확대할 것”이라며, “연구용역, 각종 컨설팅 등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해 도민이 범죄 걱정없이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경남도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