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은 12일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안전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으면 방류하는 것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국회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장관은 국회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 규탄·대책 촉구 결의안을 공동 발의한 국회의원으로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의 무단 해양 방류를 반대할 의향이 없는가'라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박 장관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검증되지 않은 것을 방류해서는 안 된다고 (일본에) 이야기하고 있다"고 거듭 밝혔다.
그는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결정에 무조건 따라갈 계획인가'라는 질문에도 "아니다"라면서 "전문가들이 많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우리 전문가 입장에서 건의할 내용들은 건의하면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
박 장관은 최근 일본이 오염수 방류 시운전을 하기 전 사전 통보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사전 통보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이 자체적으로 오염수 처리에 대해 계획을 세워서 하고 있고 시운전을 한다는 것은 오염수를 방류하는 게 아니고 그걸 방류할 수 있는 시설을 점검하는 의미"라며 "오염수 방류와는 다른 개념"이라고 부연했다.
박 장관은 태평양 도서국 이외에 중국, 필리핀, 대만, 베트남 등 다른 태평양 국가들과 이 문제를 협의한 바 있느냐는 질문에는 "우리 정부는 오염수가 안전성이 검증되고 국제법과 국제 기준에 부합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이런 입장을 공유하는 국가나 국제기구와 필요한 협의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중국도 이런 입장을 같이 한다면 필요한 협의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일본의 오염수 방류 결정 이후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 금지 조치 의향을 묻자 "지난 정부에서와 같이 이 문제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달린 최우선 문제이고 과학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공통된 입장을 우리 정부도 갖고 있고, 거기에 더해 이번 정부에서는 국제법과 국제 기준에 맞춰서 해야 한다는 걸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런 명확한 입장을 갖고 일관되게 이야기하고 있는 게 윤석열 정부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