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환경성질환예방관리사업에 '바이오 기술' 접목해 시범 적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강대웅 기자
입력 2023-06-19 07: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피부 수분도 실시간 측정·분석, 아토피 예방·관리에 활용

  • 디지털 환경보건 기술 고도화 등으로 교육 컨텐츠 제공

착용형 피부 수분도 측정기기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19일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하면 실시간으로 생체신호를 분석해 아토피나 천식 등 환경성질환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도는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교육사업에 이런 기능을 가진 생체기반형 환경보건 건강영향 모니터링 기술을 시범 적용하기로 했다.

도는 가평군 환경성질환예방관리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경대학교가 환경부 연구개발(R&D) 실증화 사업으로 추진 중인 ‘착용형 피부수분도 측정기술’을 적용해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이 기기는 피부에 부착해 체온과 피부 수분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데이터 전송·관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자 위치정보나 동시간 환경 노출 정보와 연동해 아토피피부염과 환경 노출 인자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착용형 피부 수분도 측정기기를 부착하고 숲 체험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교육에 참여하면서 피부 수분도가 높아지는 것을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했다.

체험한 학생들은 ‘스티커처럼 잘 붙어있다’, ‘피부색과 같아서 눈에 덜 띄니까 좋았다’, ‘아토피를 앓고 있거나 관심이 많은 친구에게 소개해주고 싶다’ 등의 이용 소감을 밝혔다.

이 사업은 환경부가 2024년까지 추진 중이며 환경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조사·평가사업과 이에 기반한 예방사업을 수행한다.

지금까지는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교육 종료 후에 신체 변화를 확인할 객관적 지표가 없었으나 착용형 수분도 측정기기 등 건강 영향 모니터링 기술개발이 완료되고 보편화되면 경기도 환경성질환 예방관리사업은 획기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도는 연구팀과 협의해 각 시군의 수요조사를 파악한 뒤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교육사업에 이 프로그램을 점차 확대하고, 올해 시범사업 결과를 면밀히 평가·분석해 이용자 만족도 조사와 기술 보완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사업을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