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 [사진=연합뉴스]
보건복지부(복지부)는 28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장에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출범식과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출범식은 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 주최하고,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12개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장이 함께했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정부는 노인 대상의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사람 중심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의료-요양-돌봄 제공기관을 연계해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시범사업 기간은 오는 7월 1일부터 2025년 12월까지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2025년 노인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75세 이상 후기 노령인구 증가로 의료·돌봄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며 “시범사업을 통해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원하는 어르신들을 지원하고, 병원이나 시설보다는 집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출범식 이후 진행된 정책포럼에서는 권용진 서울대학교병원 교수와 유애정 건강보험연구원 통합돌봄연구센터장이 발제하고, 강혜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원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에 참여한 각 분야별 전문가들은 서비스 대상자 기준, 서비스 제공 및 운영에서 전반적으로 고려할 정책 방향, 필요한 정보와 인프라 등을 논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