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정부 산하 주요 정책 연구기관들이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 증진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주요 외교 현안들에 대해 논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 이후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빨라지는 모습이다.
27일 띤득 신문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이날 동북아연구소, 사회과학한림원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이 후원하는 ‘베트남·한국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향한 공공외교 통합 및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베트남과 한국 내 공공외교’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민 공공외교를 촉진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과 정책을 제안하고, 베트남과 한국 간 여러 측면에서 우호 및 협력 관계의 강화 및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문화외교와 공공외교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면서 한국 공공외교법과 현실적 문제와 베트남의 공공외교 접근 방식 등 공공외교 관련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시행 과정에 대한 경험들을 공유했다.
동북아연구소의 프로젝트 매니저를 맡고 있는 똥 투이 린(Tong Thuy Linh) 박사는 “내용 측면에서 베트남의 공공외교는 정보 외교와 문화 외교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로 나눌 수 있다”며 “다른 국가의 비정부 영역과 대중에게 베트남의 외교 정책 목표를 구현하고 국가 이익을 위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메시지와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트남 사회과학한림원은 정부 산하 기관으로 정책 계획에 필요한 각종 사회 과학 기초 연구를 수행해 정부에 의견을 제공한다. 동북아연구소는 사회과학원 산하 연구 기관으로서 한국, 일본 등 동북아 주요 국가들에 대한 각종 정책 연구를 수행한다.
동북아연구소의 호앙 민 항(Hoang Minh Hang) 박사는 “2010년 이전까지 한국은 주로 한류를 통해 문화외교를 진행했다"며 한국은 다양한 형태의 공공외교를 시행해 왔지만 공공외교는 주로 문화외교와 동일시되고 있다”고 전했다. 2010년 한국 정부는 공공외교 개념을 공식 도입했고, 1년 뒤 국내 최초로 공공외교 대사를 위촉했다. 이로써 "공공외교는 위상이 격상되면서 경제외교, 정치외교와 함께 외교의 3대 축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고 박사는 전했다.
한국 정부는 2016년 2월 공공외교법을 공포하고 2016년 8월부터 공식 시행했다. 이는 공공외교 개선을 위한 것으로, 공공외교와 문화외교의 현안이 중첩·중복되고 컨트롤타워의 부재로 공공외교법 제정이 절실히 필요했던 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항 박사는 "현재까지 한국의 공공외교법은 관련 토대를 마련하고 필요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이미지와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목적으로 7년 동안 시행되어 왔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베트남 주요 정책 연구 기관들이 한국과 베트남 양국 간 관계 개선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공공외교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노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