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최근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포함한 가계대출 급증세와 관련해 "가계부채가 예상을 뛰어넘어 급증할 경우 금리나 거시건전성 규제 등을 통해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기로 결정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 여러 위원들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많은 우려를 표했다"면서 "정교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현재 가계대출 증가 추세 평가에 대해서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다시 오르는 추세로 바뀐다면 과도하다 할 수 있겠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말을 아꼈다. 이어 이 총재는 "가계부채는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단기적으로 급격히 조정하려고 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 가능성이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나 역전세, 새마을금고 사태 등이 예"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시장 불안을 최소화하면서 가계부채가 중장기적으로 연착륙하도록 통화정책 목표로 갖고 대응하자는 생각"이라며 "가계부채가 예상 밖으로 늘어난다면 금리뿐만 아니라 거시건전성 규제 강화 등 여러 정책 옵션을 통해 대응할 것이며 금통위원들도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작년 106%에서 올해 103%까지 하락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향후 80%까지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GDP 대비 부채 비율을)하루 아침에 내리긴 어렵다"면서 "금리정책과 부동산담보대출 변화 등을 정부와 이야기하면서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