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가계부채 증가세에 많은 우려…예상 밖 증가 시 금리 등으로 대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근미 기자
입력 2023-07-13 14: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7월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7월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최근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포함한 가계대출 급증세와 관련해 "가계부채가 예상을 뛰어넘어 급증할 경우 금리나 거시건전성 규제 등을 통해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기로 결정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 여러 위원들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많은 우려를 표했다"면서 "정교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현재 가계대출 증가 추세 평가에 대해서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다시 오르는 추세로 바뀐다면 과도하다 할 수 있겠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말을 아꼈다. 이어 이 총재는 "가계부채는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단기적으로 급격히 조정하려고 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 가능성이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나 역전세, 새마을금고 사태 등이 예"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는 거시적 대응에 균형 있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다만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 자금흐름 물꼬를 뜨는 미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역전세난 해소를 위한 규제완화 등 정부 대응이 가계부채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나 미시정책이 통화정책과 상충되는 것은 아니라는 시각이다.

이 총재는 "시장 불안을 최소화하면서 가계부채가 중장기적으로 연착륙하도록 통화정책 목표로 갖고 대응하자는 생각"이라며 "가계부채가 예상 밖으로 늘어난다면 금리뿐만 아니라 거시건전성 규제 강화 등 여러 정책 옵션을 통해 대응할 것이며 금통위원들도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작년 106%에서 올해 103%까지 하락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향후 80%까지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GDP 대비 부채 비율을)하루 아침에 내리긴 어렵다"면서 "금리정책과 부동산담보대출 변화 등을 정부와 이야기하면서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