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세계백화점 잔반제로 캠페인. [사진=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이 AI 푸드스캐너를 도입한 후 직원식당의 잔반을 획기적으로 줄이는데 성공햇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 7월 직원식당 내 AI 푸드스캐너를 설치하고 운영한 결과, 1년 동안 잔반량이 15% 줄었다고 20일 밝혔다. 직원식당 이용자 절반이 넘는 51%는 잔반을 전혀 남기지 않았다.
AI 푸드스캐너는 비접촉 스캐닝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음식의 종류와 양을 분석한 후 잔반량을 파악해 전산화해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남긴다.
식판을 반납하고 나가는 길목에는 AI 푸드스캐너를 통해 취합된 잔반∙탄소 배출량 등 각종 수치를 바로 볼 수 있는 전자 표지판을 설치했다. 실시간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표시해 잔반을 줄여 환경 보호에 기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실제 AI 푸드스캐너 도입 전보다 1인당 잔반량이 15% 가량 줄어든 것은 물론 잔반 제로율도 30%대에서 50%대로 크게 늘어났다.
신세계백화점은 직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이달부터 8월까지 잔반 제로 10회를 달성하는 직원들에게는 비건화장품, 욕실용품 등 친환경 선물세트를 증정한다.
이원호 신세계백화점 CSR담당 상무는 “AI 푸드스캐너 기술과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직원식당 잔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친환경, 사회공헌 등 다양한 분야의 ESG 활동들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 7월 직원식당 내 AI 푸드스캐너를 설치하고 운영한 결과, 1년 동안 잔반량이 15% 줄었다고 20일 밝혔다. 직원식당 이용자 절반이 넘는 51%는 잔반을 전혀 남기지 않았다.
AI 푸드스캐너는 비접촉 스캐닝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음식의 종류와 양을 분석한 후 잔반량을 파악해 전산화해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남긴다.
식판을 반납하고 나가는 길목에는 AI 푸드스캐너를 통해 취합된 잔반∙탄소 배출량 등 각종 수치를 바로 볼 수 있는 전자 표지판을 설치했다. 실시간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표시해 잔반을 줄여 환경 보호에 기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신세계백화점은 직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이달부터 8월까지 잔반 제로 10회를 달성하는 직원들에게는 비건화장품, 욕실용품 등 친환경 선물세트를 증정한다.
이원호 신세계백화점 CSR담당 상무는 “AI 푸드스캐너 기술과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직원식당 잔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친환경, 사회공헌 등 다양한 분야의 ESG 활동들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