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업계에 따르면 낙농진흥회 소위원회는 그동안 수차례 회의를 열고 원유 가격 협상을 벌여왔다. 전날에도 낙농가와 유업계는 10차 회의를 열고 이례적으로 밤 늦게까지 원유 가격 인상률에 대해 논의했지만, 팽팽한 입장차만 재확인하고 헤어졌다.
지난달 9일 첫 회의를 시작한 이후 47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협상은 진전이 없는 상태다. 지난해엔 50여 일 만에 극적으로 타결됐지만 올해는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견해다.
업계 한 관계자는 “27일 예정된 11차 회의에서 원유 가격이 결정될지는 미지수”라면서 “현재 의견을 절충해가는 과정이지만, 낙농가가 생산비 상승분에 따른 원유 값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협상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협상이 번번이 결렬되면서 내달 1일부터 적용할 원유 가격 인상 시기도 연기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낙농가가 1년 이상 생산비 급등을 감내하다 보니 목장 경영을 포기하는 사례가 느는 추세”라면서 “해외에서는 생산비나 소비 상황 등을 원유 가격에 신속하게 반영,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작년에 원유 가격이 각각 55%, 37%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생산비는 협상의 기준점이긴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그간 생산비만 반영했던 원유 가격 결정체계가 올해부터는 생산비와 마시는 우유인 음용유와 치즈 등을 만드는 가공유를 구분하는 ‘용도별 차등가격제’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과거 낙농가 생산비만 연동됐을 때엔 생산비 상승분의 90~110%를 원유 가격에 반영했다. 그러나 올해는 제도 변경에 따라 생산비 상승분의 60~90%만 적용한다. 원유 가격 인상 범위 역시 기존 방식을 적용하면 ℓ당 104~127원이던 것이 올해는 69~104원(6.9%~10.4%)으로 낮아졌다. 낙농가의 생산비 상승폭(13. 7%)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낙농가가 최대 인상률을 요구하는 이유다.
유업계는 인상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정부로부터 우유 가격의 인상 자제 압박을 받는 유업계는 낙농가 요구를 그대로 수용할 수조차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농식품부는 “흰우유 가격은 원유 값뿐만 아니라 유업체의 인건비, 유류비, 판관비 등과 유통업체의 마진(이윤)으로 구성된다”며 “흰우유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생산자와 수요자뿐만 아니라 유통 효율화 등 유통 분야에서 개선할 여지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유업계와 대형마트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예고된 원유 값 인상률은 예년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원유 가격은 △2020년 ℓ당 926원 △2021년 947원 △작년 996원으로 올랐다. 올해는 최저 인상금액인 69원을 적용해도 1000원 이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럴 경우 흰우유 소비자가격은 3000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다만 정부는 원유 가격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주요 유제품 중 국산 원유를 사용하는 비중은 버터 6.1%, 치즈 1.8% 등에 그친다”면서 “카페와 베이커리 등도 저렴하게 수입한 멸균유를 많이 사용한다. 원유 가격 인상으로 밀크플레이션이 초래된다는 것은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