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사상 첫 별도 정상회담...삼각공조 새로운 전기 맞을까

  • 18일 美캠프데이비드 개최 확정...북한 핵‧미사일 위협 공조 등 논의할 듯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5월 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5월 G7 정상회의장인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다음 달 18일 미국에서 정상회의를 열고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공조 방안과 인도‧태평양 지역 협력 구축 등에 대해 긴밀하게 협의한다. 3국 간 회의만을 위한 첫 '별도' 정상회담인 만큼 한‧미‧일 삼각공조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29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초청으로 8월 18일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되는 한‧미‧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역대 한‧미‧일 정상회담은 총 12차례 개최됐다. 모두 유엔(UN)총회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 계기로 성사됐다. 한‧미‧일 정상회담을 위한 만남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 전용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 외국 정상을 초청한 것 역시 최초다. 3국 협력이 새로운 수준으로 발전할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대통령실은 "정상 간 격의 없고 친밀한 대화를 갖기 위해 '리트리트(자유발언)' 형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공조 △경제안보 △인도‧태평양 지역 협력 △글로벌 문제 협력 등에 대한 협의가 예상된다.
 
3국 정상은 최근 빈번해진 북한의 도발에 고강도 경고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미국 확장억제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지난해 11월 합의한 '북한 미사일 정보 실시간 공유'를 중심으로 기존 3국 군사훈련 확대‧정례화 등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미 간 새 확장억제 협의체인 핵협의그룹(NCG)에 일본이 동참하는 방안도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경제안보, 인도‧태평양, 글로벌 문제'의 협력은 사실상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하는 것이어서 이들의 반발이 우려된다. 북한이 최근 '전승절(정전협정기념일)'을 계기로 중국·러시아 등 권위주의 연대 강화를 시사한 상황에서 한·미·일 역시 자유민주주의 진영 연대 결속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한‧미‧일 정상회담 성과가 세 정상의 다소 불안한 자국 내 정치 기반 강화에 어떤 영향을 줄 지 주목하고 있다. 이들 정상이 이번 만남을 통해 외교적인 성과를 올려 확실한 모멘텀을 가지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30%대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박스권을 돌파하고 부정평가를 절반 이하로 끌어내릴 계기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내년 11월 대통령직 재선을 목표로 하는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40% 안팎에 머물고 있다. 최근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등 경제지표는 양호하지만 미국민들이 제대로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만 80세를 넘긴 건강문제에 대한 불안감도 크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시다 내각의 지지율은 일본판 주민등록증인 ‘마이넘버 카드’ 관련 행정 오류 논란 등의 요인으로 2021년 내각 출범 이래 역대 최저인 35%까지 떨어졌다.

정치권의 한 전문가는 "윤 대통령을 비롯 바이든 대통령, 기시다 총리가 자국에서 지지율이 불안한 상황에서 외교적인 성과 돌파구를 찾으려 할 것"이라며 "확실한 성과가 있을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만남의 의미만 둔다면 큰 지지율 상승은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