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에 건설 예정인 민간 공항에 대한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이하 민항 사타) 결과를 오는 25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사전타당성 검토는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 운용지침'에 따라 공항 건설사업의 시작 단계에서 항공 수요에 따른 시설 규모, 배치 등 개략적인 공항 계획을 마련하는 절차로, 지난 4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하 특별법) 제정 이후 해당 사업이 본격 추진되면서 마련됐다.
결과에 따르면 민간 공항은 부지면적 약 92만㎡로 전체 공항 면적의 약 5%이며, 항공수요는 오는 2060년 여객 1226만명, 국제선 906만명, 화물 21만8000톤으로 추정된다.
시설은 여객터미널 10만2000만㎡, 화물터미널 1만㎡, 계류장 29만6000㎡, 활주로 3500m, 확장을 위한 여유부지 22만6000㎡ 등 규모이며, 총 사업비는 약 2조6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정용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민·군 공항이 통합 이전하는 최초 사례인 만큼 2030년 군공항 이전계획에 따라 민항이 차질 없이 개항되도록 국방부, 대구시, 경상북도 등 관계기관과 원팀으로 적극 협력하겠다"면서 "향후 통합신공항건설추진단 출범(특별법 제12조), 예타 면제 신청, 기본계획 수립 등 후속 사업절차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