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경기둔화와 자국 전기차 기업 간 경쟁 심화로 구조적 변화를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18일 이호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 책임연구원은 '중국 전기차 시장 이슈 점검'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전기차 시장이 아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경제상황이 악화하며 전기차 부실기업이 정리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중국이 올해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폐지한 이후 전기차 시장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며 둔화한 정도 및 기업 점유율 집중도를 분석했다.
우선 구매보조금 폐지 이후에도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최근 수년간의 판매량 추이를 이탈하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구매보조금' 폐지에 따른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세는 적다는 얘기다.
이 책임연구원은 "구매보조금은 일몰됐으나 차량 번호판 교부, 취득세 감면 연장 등 여전히 전기차 친화적인 제도 환경이 존재한다"며 "저가 전기차가 인기를 끌어 판매량의 성장세가 훼손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일부 기업에 고도로 집중된 것으로 보기도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중국 전기차의 분기별 판매 데이터를 허쉬만·허핀달 지수(HHI)로 계산해 시장 집중도를 분석했다.
HHI는 특정 업체들의 시장지배력을 계량화해 시장집중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미국 법무부는 기업결합 심사 시 1500 이하는 비집중 시장, 1500∼2500은 중간 정도로 집중된 시장, 2500 초과는 고도로 집중된 시장으로 분류한다.
중국의 올해 2분기 전기차 시장의 HHI는 브랜드별로 봤을 때 1038, 그룹사별로 봤을 때 1120으로 집계돼 집중도가 높은 시장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책임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산업 내부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2분기부터 현재까지 HHI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만큼 향후 기업 간 경쟁이 심화하고 디플레이션 압력이 강화될 경우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중국 경제시장의 불안 요인이 현실화하면 전기차 시장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며 "성장이 더뎌진 환경에서 업체 간 경쟁이 심화해 부실 전기차 기업의 정리 등 구조조정이 빨라질 수 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