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힘 홍석준 국회의원(대구 달서갑)이 '2022년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경기, 서울, 대전 3개 지역은 1~3위로 계속 최 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그 외 기타 지역들은 1위인 경기도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의 절반 이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지역별 과학기술혁신 역량 수준의 비교・분석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지수(R-COSTII)를 산출하고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R-COSTII : Regional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dex)은 지역별 과학기술 관련 다양한 부문별 항목과 지표의 순위를 종합해 지역 별 과학기술 강・약점을 진단하고, 순위 변화를 분석해 지자체별 지역혁신역량 제고에 필요한 주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별 총체적 과학기술 역량을 나타내는 국가적 권위를 가진 대표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R-COSTII : Regional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dex)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지역별 과학기술 관련 자원(인적자산, 조직 등), 활동(연구개발투자, 창업활동 등), 네트워크(산학연협력, 기업간/정부간 협력 등), 환경(지원제도, 인프라 등), 성과(경제적 성과, 지식창출 등) 부문의 지표를 분석해 매년 산출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의 총체적 과학기술 역량을 나타내는 국가적 권위를 가진 대표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기지역은 2018년(15.9)에 비해 2022년(16.7) 0.74점 상승하고, 서울지역은 2018년(15.1)에 비해 2022년(16.0) 0.86점 상승한 반면, 대구지역은 2018년(6.5)에 비해 2022년(5.1) 1.38점이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정부 기간 지역 별 과학기술혁신역량의 순위 변화를 보면, △전북 2018년 14위→2022년 9위 △부산은 10위→6위로 상승한 반면, △대구 11위→13위 △광주 9위→11위 △세종은 12위→16위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석준 의원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은 지역의 경쟁력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서울 및 경기 지역과 다른 지역의 편차가 고착화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지역 별 취약점을 분석하고 맞춤형 지원을 통해 혁신역량이 개선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