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의는 민자고속도로를 포함한 고속·일반국도 관리기관의 겨울철 제설대책을 공유하고 점검하는 한편, 다중추돌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큰 도로결빙에 대한 사전대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겨울철 제설대책 중점 관리사항으로 선제적 상황관리를 위한 24시간 비상근무체계 유지와 초기제설 강화를 위해 취약구간에 장비·인력의 전진 배치와 관계기관 간 공조체계 강화 등을 요청했다.
특히, 최근 겨울철 민자고속도로에서 발생한 도로결빙에 의한 사고사례를 설명하면서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큰 만큼 제설작업과 안전조치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예보 없는 기습적 강설과 국지적 대설로 인한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유관기관 간 제설물자·장비·인력 등 실질적인 지원체계를 확인하고, CCTV 등을 통해 강설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것도 주문했다.
특히, 기관 간 상호 지원이 가능한 제설제, 장비 등 자원현황을 공유하고 진입로, 교차구간 등 접경지역에 대한 작업구간을 조정하여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했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도로결빙 대책으로 예비살포와 순찰을 강화하고, 결빙취약구간에 자동염수분사장치 등 도로살얼음 방지시설, 도로전광표지, 조명식표지판 등 안전시설을 확충했다. 또한, 도로공사는 중부내륙선, 서해안선 등 일부 노선에 도입한 ‘AI기반 도로살얼음 관리시스템’을 활용한 과학적 제설관리를 다른 노선에까지 확대하고자 추진 중이다.
아울러, 민자고속도로 관리주체도 제설제 사전살포를 강화하고 구간별 제설장비 순환주기를 고려한 제설목표를 설정했으며, 도로결빙에 대비한 순찰강화 등 도로공사 수준의 제설대책을 발표했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기상패턴의 변화로 이상기상 현상 등이 잦아지면서 정확한 강설예측이 어려워진 부분이 있다”라며, “기상 예보에만 의존한 제설대책으로는 적기대응을 놓칠 수 있으므로 정부는 갑자기 내린 눈에도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 시민불편을 최소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