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 메이커'들이 뭉쳤다. '지금 우리 학교는'으로 글로벌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이재규 감독과 '눈이 부시게' 이남규 작가 그리고 배우 박보영, 연우진, 장동윤이 그려낸 가슴 따뜻한 힐링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통해서다. 국내 시청자들이 '믿고 보는' 히트 메이커들의 신작,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글로벌 시청자들의 마음까지 사로잡을 수 있을까?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연출 이재규 김남수) 제작발표회가 진행됐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다은'(박보영 분)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다. '힙하게' '눈이 부시게'를 쓴 이남규 작가가 집필하고 드라마 '다모' '지금 우리 학교는' 이재규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동명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했다.
이재규 감독은 "원작이 가진 순수함과 원작자님이 세상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정말 좋았다. 이 작품을 맡기 전 가족, 친구들과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절반이 마음의 병을 가지고 있다. 정신질환이 있다고 해도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과언은 아니다'라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심리적으로 힘들고 각박한 세상이라고 생각한다. 그들과 그들 주변인에게 (정신질환을) 어덯게 봐야 하고 그것으로부터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는지 생각할 수 있는 드라마다. 심리적으로 위안을 얻을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사려 깊은 문법과 풀이로 시청자들에게 사랑받는 이남규 작가와 이재규 감독이지만 정신 병동을 소재로 한 만큼 조심스러운 태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 감독은 "대부분 사람은 뼈가 부러지면 정형외과에 가지만 마음에 병이 생기면 정신병원에 가거나 약을 먹으려 하지 않는다. 마음이 아픈 것도 몸이 아픈 것과 같은 거라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은 길일 수 있다. 그런 마음으로 작품을 만들었다. 기존 의료 드라마는 의사가 주가 되지만 우리 이야기는 간호사 또는 환자들이 주인공이다. 많은 시청자가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만들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감독은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어른들의 동화"라고 정의했다.
그는 "어른들이 볼 수 있는 동화를 만들고 싶었다. 의료진의 태도, 의학적인 건 정확하게 짚어내되 따뜻하고 동화적인 틀로 담아내고 싶었고 그런 점들을 세트 등에 많이 반영해 냈다"고 거들었다.
전작 '지금 우리 학교는'으로 아포칼립스 세계관으로 피가 난무하고 서로 물어뜯곤 했다. 아포칼립스의 기원도 인간이고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인간이었다. 그 작품을 만들며 지치고 힘든 부분이 있었다. 그런데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찍으며 하루하루 마음의 치료를 받는 것 같더라. 저도 힐링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설명했다.
배우들도 남다른 각오로 작품에 임했다. 이 작품으로 하여금 정신병원에 대한 인식 개선과 문턱이 낮아지길 바란다는 마음이었다.
극 중 내과 3년 차에 전과한 명신대학교 정신병동 간호사 '정다은'을 연기한 박보영은 "개인적으로 (정신의학과에 출입에 대한) 문턱이 낮아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힘든 일을 겪을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우리 드라마가 그런 부분을 쉽고 편안하게 안내할 수 있을 것 같더라"고 작품 선택 이유를 밝혔다.
이 감독은 박보영이 '다은' 그 자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다은'은 자신보다 환자들을 먼저 생각하는 캐릭터다. 그런데 보영씨는 그보다 한 수 위"라며 실제 성격도 '다은'과 닮아있다고 말했다.
연우진은 명신대병원 대장항문외과 의사 '동고윤' 역을 맡았다.
그는 "함께 만드는 이들에 대한 믿음"으로 작품을 시작했다며 "이재규 감독님과 꼭 만나보고 싶었다. '지금 우리 학교는'도 참 재밌게 보았는데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백신을 맞는 기분이더라. 힐링할 수 있는 작품"이라며 치켜세웠다.
장동윤은 초등학교 때부터 둘도 없는 다은의 절친 '송유찬' 역을 연기한다. '고윤'의 대학 후배이기도 한 그는 대기업을 다니다가 사표를 내고 현재는 부모님의 치킨집을 돕는 캐릭터다.
장동윤은 "감독님과 선배님들의 팬이었다. 함께 작품을 하게 되었을 때 정말 기뻤다. 영광이었다. 작품과 '유찬'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해서 그 매력을 잘 살려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정은은 명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간호사 '송효신'으로 변신했다. 환자와 보호자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노련하게 대처하는 베테랑이다.
이정은은 "언젠가 멘탈 케어에 대한 드라마가 나오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타이밍에 감독님께서 정신 건강에 대한 특별한 애정 가지고 만든 작품이 나와 마음이 동했다"고 설명했다.
이 감독은 작품의 사실성과 진정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정신병동 의료진들에게 숱한 자문을 구했다. 성모병원 의료진들이 검수하고 직접 현장도 찾아오기도 했다.
박보영은 "성모병원 의사, 간호사분들께서 정말 많은 도움을 주셨다. 현장도 참관하곤 했는데 (의료진들을) 쫓아다니면서 많이 메모하곤 했다. 한발 앞서 계시거나, 한 발 뒤에 계시는 모습을 지켜보기도 했다. 정맥 주사 놓는 방법도 세세하게 알려주시고 동영상을 직접 보내주시기도 했다. 제가 조금이라도 (극 중에서) 간호사처럼 보였다면 그건 모두 서울 성모병원 간호사분들 덕"이라고 말했다.
이정은도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정말 적극적으로 도와주셨다. 정신 의학과 수간호사 선생님은 행정업무가 많으셔서 서류나 해야 할 일들 업무에 대해서 조언과 참관하였다"고 거들었다.
현장에서 공개된 예고편과 캐릭터 설명 영상은 그야말로 사려 깊고 따스했다. 이 감독과 배우들은 작품에 임하면서도 "힐링 받았다"며 작품을 통해 많은 이들이 치유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는 마음을 전했다.
연우진은 "이 작품을 통해 연기자 연우진이 아닌 인간 연우진을 열렬히 사랑할 수 있었다. 제가 느낀 감정을 모두가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인사했다.
박보영은 "혹시나 지금도 어두운 긴 밤을 보내는 분들이 계시다면 우리 드라마를 보고 '반드시 아침이 온다'는 생각으로 잘 극복하실 수 있을 것"이라며 응원했다.
이정은은 "이 작품 보시면서 낮아진 문턱으로 주위를 살피고 본인의 행복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거들었다.
마지막으로 이 감독은 "우리 드라마는 많이 웃고 또 가끔 울컥 울 수 있는 재밌는 작품이다. 몰래 숨겨놓은 초콜릿 박스 같은 이야기다. 달콤하고 쌉싸래한 보석 같은 이야기라 많은 분들이 즐기면 좋겠다. 저도 큰 위안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현대인들의 아픈 상처를 어루만져 줄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오는 11월 3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연출 이재규 김남수) 제작발표회가 진행됐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다은'(박보영 분)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다. '힙하게' '눈이 부시게'를 쓴 이남규 작가가 집필하고 드라마 '다모' '지금 우리 학교는' 이재규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동명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했다.
이재규 감독은 "원작이 가진 순수함과 원작자님이 세상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정말 좋았다. 이 작품을 맡기 전 가족, 친구들과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절반이 마음의 병을 가지고 있다. 정신질환이 있다고 해도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과언은 아니다'라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심리적으로 힘들고 각박한 세상이라고 생각한다. 그들과 그들 주변인에게 (정신질환을) 어덯게 봐야 하고 그것으로부터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는지 생각할 수 있는 드라마다. 심리적으로 위안을 얻을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감독은 "대부분 사람은 뼈가 부러지면 정형외과에 가지만 마음에 병이 생기면 정신병원에 가거나 약을 먹으려 하지 않는다. 마음이 아픈 것도 몸이 아픈 것과 같은 거라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은 길일 수 있다. 그런 마음으로 작품을 만들었다. 기존 의료 드라마는 의사가 주가 되지만 우리 이야기는 간호사 또는 환자들이 주인공이다. 많은 시청자가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만들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감독은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어른들의 동화"라고 정의했다.
그는 "어른들이 볼 수 있는 동화를 만들고 싶었다. 의료진의 태도, 의학적인 건 정확하게 짚어내되 따뜻하고 동화적인 틀로 담아내고 싶었고 그런 점들을 세트 등에 많이 반영해 냈다"고 거들었다.
전작 '지금 우리 학교는'으로 아포칼립스 세계관으로 피가 난무하고 서로 물어뜯곤 했다. 아포칼립스의 기원도 인간이고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인간이었다. 그 작품을 만들며 지치고 힘든 부분이 있었다. 그런데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찍으며 하루하루 마음의 치료를 받는 것 같더라. 저도 힐링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설명했다.
배우들도 남다른 각오로 작품에 임했다. 이 작품으로 하여금 정신병원에 대한 인식 개선과 문턱이 낮아지길 바란다는 마음이었다.
극 중 내과 3년 차에 전과한 명신대학교 정신병동 간호사 '정다은'을 연기한 박보영은 "개인적으로 (정신의학과에 출입에 대한) 문턱이 낮아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힘든 일을 겪을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우리 드라마가 그런 부분을 쉽고 편안하게 안내할 수 있을 것 같더라"고 작품 선택 이유를 밝혔다.
이 감독은 박보영이 '다은' 그 자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다은'은 자신보다 환자들을 먼저 생각하는 캐릭터다. 그런데 보영씨는 그보다 한 수 위"라며 실제 성격도 '다은'과 닮아있다고 말했다.
연우진은 명신대병원 대장항문외과 의사 '동고윤' 역을 맡았다.
그는 "함께 만드는 이들에 대한 믿음"으로 작품을 시작했다며 "이재규 감독님과 꼭 만나보고 싶었다. '지금 우리 학교는'도 참 재밌게 보았는데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백신을 맞는 기분이더라. 힐링할 수 있는 작품"이라며 치켜세웠다.
장동윤은 초등학교 때부터 둘도 없는 다은의 절친 '송유찬' 역을 연기한다. '고윤'의 대학 후배이기도 한 그는 대기업을 다니다가 사표를 내고 현재는 부모님의 치킨집을 돕는 캐릭터다.
장동윤은 "감독님과 선배님들의 팬이었다. 함께 작품을 하게 되었을 때 정말 기뻤다. 영광이었다. 작품과 '유찬'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해서 그 매력을 잘 살려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정은은 명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간호사 '송효신'으로 변신했다. 환자와 보호자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노련하게 대처하는 베테랑이다.
이정은은 "언젠가 멘탈 케어에 대한 드라마가 나오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타이밍에 감독님께서 정신 건강에 대한 특별한 애정 가지고 만든 작품이 나와 마음이 동했다"고 설명했다.
이 감독은 작품의 사실성과 진정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정신병동 의료진들에게 숱한 자문을 구했다. 성모병원 의료진들이 검수하고 직접 현장도 찾아오기도 했다.
박보영은 "성모병원 의사, 간호사분들께서 정말 많은 도움을 주셨다. 현장도 참관하곤 했는데 (의료진들을) 쫓아다니면서 많이 메모하곤 했다. 한발 앞서 계시거나, 한 발 뒤에 계시는 모습을 지켜보기도 했다. 정맥 주사 놓는 방법도 세세하게 알려주시고 동영상을 직접 보내주시기도 했다. 제가 조금이라도 (극 중에서) 간호사처럼 보였다면 그건 모두 서울 성모병원 간호사분들 덕"이라고 말했다.
이정은도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정말 적극적으로 도와주셨다. 정신 의학과 수간호사 선생님은 행정업무가 많으셔서 서류나 해야 할 일들 업무에 대해서 조언과 참관하였다"고 거들었다.
현장에서 공개된 예고편과 캐릭터 설명 영상은 그야말로 사려 깊고 따스했다. 이 감독과 배우들은 작품에 임하면서도 "힐링 받았다"며 작품을 통해 많은 이들이 치유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는 마음을 전했다.
연우진은 "이 작품을 통해 연기자 연우진이 아닌 인간 연우진을 열렬히 사랑할 수 있었다. 제가 느낀 감정을 모두가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인사했다.
박보영은 "혹시나 지금도 어두운 긴 밤을 보내는 분들이 계시다면 우리 드라마를 보고 '반드시 아침이 온다'는 생각으로 잘 극복하실 수 있을 것"이라며 응원했다.
이정은은 "이 작품 보시면서 낮아진 문턱으로 주위를 살피고 본인의 행복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거들었다.
마지막으로 이 감독은 "우리 드라마는 많이 웃고 또 가끔 울컥 울 수 있는 재밌는 작품이다. 몰래 숨겨놓은 초콜릿 박스 같은 이야기다. 달콤하고 쌉싸래한 보석 같은 이야기라 많은 분들이 즐기면 좋겠다. 저도 큰 위안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현대인들의 아픈 상처를 어루만져 줄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오는 11월 3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