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통신사, 신용카드를 이용하지 않는 재외동포들은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인증서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본인확인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양 기관은 재외동포가 기 소지하고 있는 전자여권을 통해 인증서 발급이 가능하도록 민관 연계시스템을 구축한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재외동포인증센터(가칭) 설치·운영, 재외동포 비대면 신원확인 법·제도 마련, 비대면 신원확인의 안정성·신뢰성 제고 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앞서 전자서명법 소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전자서명 전문기관인 KISA는 재외동포청과 함께 지난 2월부터 전자여권을 신원확인증표로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 왔다. 민간 전자서명인증사업자가 전자여권의 진위여부, 해외체류 사실정보, 재외국민 등록 여부, 안면인증, 추가인증 등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도 마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