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여야 정치권에 '소통'과 '통합'을 당부했다. 협치가 사라진 현 정치권에서 소통과 통합이 최우선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에게도 '여소야대(與小野大)' 형국을 극복할 방안으로 야당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주문했다. 그는 개헌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면서 대통령에게 집중된 권력을 나누기 위한 대안으로 '책임총리제'를 내세웠다.
문 전 의장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인연이 깊다. 문 전 의장은 서울대 법과대학을 졸업한 뒤 학생운동에 투신, 1980년대 반독재 투쟁을 벌이는 그와 함께했다. 1992년 14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된 후 16대부터 20대까지 총 6선을 역임했다. 2003년 참여정부 시절 대통령 비서실장에 임명됐으며 2018년 7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제20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지냈다.
문 전 의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가장 큰 문제는 정치 부재에 있다"며 "소통을 통해 정치를 복원하는 게 해답"이라고 말했다. 문 전 의장은 "권력은 배고픈 사람 배부르게 하고 등 시린 사람 따스하게 하고 사회적 약자와 억울한 사람 옆에서 그들의 눈물을 닦아주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지금 국회는 상대를 죽여야 할 적으로 보고 있다"며 "정치 풍토가 양극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전 의장은 "공생과 상생을 해야 하는데 대결의 정치, 공멸의 정치가 됐다"며 "정치 복원을 하려면 첫째도 둘째도 통합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의장은 윤 대통령에 대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그는 "대통령(윤석열)도 할 수 있다. 대화의 시작은 만남에 있다"며 "권력을 가진 사람에게 책임이 있기 때문에 먼저 나서서 야당과 자주 소통을 시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결국 시대정신은 대통령이 제시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국무총리 책임제를 제시했다. 그는 "대통령 권력의 일부를 총리에게 주고 장관 제청권과 해임 건의를 총리가 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총리를 국회에서 2명 선출해 그중 한 사람을 대통령이 선택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한국 정치가 변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개헌'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박근혜 탄핵 이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을 때 개헌을 했어야 했다"며 "당시 국민들의 바람은 개헌에 있었는데, 문 정부는 개헌에 소홀히 했고 적폐청산만 하다 결국 정권을 빼앗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