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삼성·신한투자證 등 6개 증권사에 외환 건전성 강화 '통보'

이미지 확대
서울 여의도 소재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소재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삼성증권과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한화투자증권, 노무라금융투자 등 증권사 6곳을 대상으로 외화 유동성 관련 리스크 관리 체계 강화를 요구했다. 외화 자금 파악 및 관리가 미흡하다는 판단에서 이 같이 통보했다.

1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이들 증권사에 외화 유동성 관련 리스크 관리 체계와 관련해 '경영유의'를 통보했다. 지급 결제 및 자금 수요에 제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리 체계를 강화하라는 주문이다.

금감원은 경영유의 통보서에 "외화자금 통할 기능을 강화하고 일중 외화유동성 과부족 관리 시스템 등을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의 이번 조치는 지난 7월 외국환거래법 시행령 개정으로 증권사들의 외환 스와프 시장 참여가 허용되면서 국내 주요 증권사 10여 곳을 대상으로 외화 유동성 관리 현황 점검에 나선 데에 따른 것이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이에 앞서 금감원은 지난 달에도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4곳 증권사에 비슷한 내용의 '경영유의' 통보를 한 바 있다.

금감원은 △환리스크 관리를 위한 한도 세분화(포지션·손실 등) △가격 적정성 평가 등 외환시장 리스크에 대한 관리 기준 정비 △외화비상조달계획 및 외화 금리리스크(장단기 미스매치) 관리 체계 정비 △해외 현지법인 출자금 등 해외 익스포저 관리 △이사회 보고 체계 정비 등을 증권사들에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