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 수송동 종로구청을 구청과 소방서, 종로구의회와 종로구 보건소 등이 통합된 복합청사로 개발하는 정비계획이 통과됐다. 오는 2027년 말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 15일 제18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종로구 통합청사 건립사업 정비계획 변경안'을 조건부가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종로구청이 있는 종로구 수송동 146-2 일대는 종로구청과 종로소방서가 입지한 곳으로 '수송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1-3지구'에 해당한다. 과거 정도전 집터, 사복시(조선시대 궁중의 가마‧마필‧목장 등을 관장한 관청) 터였던 곳이다.
시와 종로구는 지난 2017년부터 종로구와 종로소방서 통합개발 논의에 착수, 소방합동청사(서울소방재난본부, 종합방재센터, 종로소방서)와 종로구 행정복합청사(종로구청, 종로구의회, 종로구보건소)를 통합해 건립하는 내용의 정비계획을 2021년 결정한 바 있다.
시는 대상지에 대해 2021년 9월부터 문화재 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선시대 사복시 터로 추정되는 매장 문화재를 발굴했다. 전문가 검토회의 등을 통해 발굴된 유구의 상태가 양호하고 숙천제아도(조선 말기의 문신인 한필교가 자신이 평생 근무한 관아들의 그림을 편찬한 화첩)의 사복시 건물 배치와 유사해 보존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발굴된 유구에 대한 보존이 필요하다는 문화재위원회 심의 결과를 반영, 시는 당초 결정된 정비계획을 일부 변경했다. 매장문화재 보전·전시 계획을 반영해 용적률 등 건축계획이 일부 조정되고, 지하 1층 문화시설(유적전시관)이 기존 1861㎡에서 3196㎡로 확대 계획됐다.
수송 1-3지구 정비계획 변경안이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조건부가결됨에 따라 통합청사의 설계는 내년 6월, 공사는 2027년 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 중심부에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방컨트롤타워가 조성되고, 종로의 역사와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이 공존할 수 있는 종로구청사가 건립될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시는 지난 15일 제18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종로구 통합청사 건립사업 정비계획 변경안'을 조건부가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종로구청이 있는 종로구 수송동 146-2 일대는 종로구청과 종로소방서가 입지한 곳으로 '수송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1-3지구'에 해당한다. 과거 정도전 집터, 사복시(조선시대 궁중의 가마‧마필‧목장 등을 관장한 관청) 터였던 곳이다.
시와 종로구는 지난 2017년부터 종로구와 종로소방서 통합개발 논의에 착수, 소방합동청사(서울소방재난본부, 종합방재센터, 종로소방서)와 종로구 행정복합청사(종로구청, 종로구의회, 종로구보건소)를 통합해 건립하는 내용의 정비계획을 2021년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발굴된 유구에 대한 보존이 필요하다는 문화재위원회 심의 결과를 반영, 시는 당초 결정된 정비계획을 일부 변경했다. 매장문화재 보전·전시 계획을 반영해 용적률 등 건축계획이 일부 조정되고, 지하 1층 문화시설(유적전시관)이 기존 1861㎡에서 3196㎡로 확대 계획됐다.
수송 1-3지구 정비계획 변경안이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조건부가결됨에 따라 통합청사의 설계는 내년 6월, 공사는 2027년 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 중심부에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방컨트롤타워가 조성되고, 종로의 역사와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이 공존할 수 있는 종로구청사가 건립될 것"으로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