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인공지능(AI)이 대체 가능한 일자리가 전체의 최대 14%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의사와 변호사 등 대표적인 고학력·고소득 직업들이 인지적인 업무를 주로 수행하는 AI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오삼일 팀장과 한지우 조사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와 노동시장 변화(BOK 이슈노트)'를 통해 "국내 일자리 가운데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일자리는 341만 개로 전체 일자리의 12%로 추정된다"고 예측했다.
이는 국내 데이터를 활용해 AI 대체 직업을 분석한 첫 조사 결과로 AI 기술로 수행 가능한 업무가 해당 직업에 얼마나 집중돼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직업별 AI 노출 지수를 산출해 평가해 도출한 것이다. AI 노출 지수가 높을수록 AI 상용화로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높다. 해당 조사에서 임계점을 상위 25%로 넓힐 경우 대체 가능한 일자리는 전체 일자리의 14%(약 398만개)에 이른다.
직업군 별로 보면 일반 의사, 한의사, 전문 의사, 회계사, 자산운용가, 변호사 등이 AI 노출 지수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성직자와 대학교수, 가수·성악가, 경호원, 점술가, 기자 등은 AI 노출 지수가 낮았다. AI 노출 지수가 낮은 일자리는 대면 접촉이나 관계 형성이 필수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에대해 오 팀장은 "AI는 다른 기술 대비 분석 업무를 더 많이 대체하는데 이는 주로 고소득 일자리의 특징"이라며 "특히 의사는 의학 산업적으로 AI 기술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고 특허도 많이 출원돼 있어 병을 진단하고 상담하는 등 업무가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 20년 간 산업용 로봇과 소프트웨어 도입이 고용·임금에 미친 영향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AI가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경우 AI 노출 지수가 10분위 높아질 경우 관련 일자리의 고용 비중은 7%포인트 줄어들고 임금 상승률은 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관측됐다.
한은은 이처럼 AI 도입으로 근로자들에게 기존과 다른 능력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AI 도입에 따른 교육 및 직업훈련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과거와 달리 사회적 기술, 팀워크 능력,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소프트스킬(soft skill)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다. 오 팀장은 "AI 기술이 업무와 생활의 편리성을 가져다주지만, 소비자 후생 감소, 이윤 독점 심화 등의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AI가 적절한 규제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