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지 감수성 부족" 지적에…조희대, '성범죄 판례' 공개·설명

답변하는 조희대 대법원장 후보자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조희대 대법원장 후보자가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31115
    seephotoynacokr2023-11-15 100027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조희대 대법원장 후보자가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희대 대법원장 후보자가 과거 판결에서 '성인지 감수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에 대해 자신이 맡았던 성범죄 사건 주요 판례를 공개하며 판단 취지 등을 설명했다.

조 후보자 측은 16일 기자들에게 배포한 설명자료에서 "법과 원칙에 입각해 증거관계에 따라 범죄 성립 여부 및 양형 등에 관해 엄정하게 판단해 왔다"고 밝혔다. 

우선 조 후보자는 2019년 9월 업무상 위력을 이용해 비서를 강제추행한 혐의로 기소된 회사 대표 판결을 소개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범행 상황을 정확히 진술하지 못해 신뢰할 수 없다고 봤으나 대법원은 이같은 판단이 틀렸다고 봤다. 이 사건의 주심 대법관은 조 후보자였다.

당시 대법원은 "표현상의 차이로 인해 사소한 부분에 일관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있거나 최초의 단정적인 진술이 다소 불명확한 진술로 바뀌었다고 해서 그 진술의 신빙성을 특별한 이유 없이 함부로 배척해서는 안 된다"고 판시했다. 

이에 대해 조 후보자 측은 "성범죄 사건 피해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고 그 진술의 신빙성을 쉽게 배척하면 안 된다고 강조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조 후보자는 2007년 4월에는 여성을 납치해 집단으로 강간하고 추행한 사건 항소심에서  피고인들의 형량을 일제히 상향한 사례, 성범죄로 피해자를 다치게 한 사건의 피고인들이 증거가 부족하고 피해자와 합의했다는 이유로 1심에서 공소 기각됐으나 항소심에서 면밀한 증거 검토 끝에 유죄로 판단을 뒤집은 사례도 제시했다.

앞서 조 후보자가 맡았던 '주한미군 성폭행 사건' 항소심에서 피고인의 형량이 줄었다며 "조 후보자의 성인지 감수성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성범죄 사건 판결과 관련해 조 후보자가 적극 해명에 나선 것은 지난 10일에 이어 두번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