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이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행정안전부가 정부 지방행정전산서비스가 멈춰선 지 사흘 만에 모두 정상화됐다.
19일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지난 17일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로 인해 국민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고 차관은 "18일 정부24 서비스를 우선 재개했고 새올 서비스도 재개했다"며 "이후 지방자치단체와 현장 점검에도 들어갔다. 현재 모든 서비스가 정상 작동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틀간 점검을 거친 결과 현재 서비스는 정상화 됐다고 생각한다"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월요일부터는 국민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고 차관은 "행안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등의 관계기관과 함께 지방행정 서비스 상황실을 설치했다"며 "전문 요원들이 실시간 모니터링 해 유사시 즉각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장애를 계기로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게, 민간 전문가도 참여하는 지방정부 시스템 TF를 실시하겠다"며 "차후 논의된 내용을 국민 여러분에게 말씀 드리겠다. 지방행정전산서비스를 개편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앞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장애 문제로 서비스가 중단된 새올 시스템 접속 여부 등을 확인했다.
이 장관은 등초본과 인감증명서 발급을 비롯해 사회보장통합시스템 등 민원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며 "내일 주민들이 민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별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일선 공무원들에게 시스템 접속을 주문한 뒤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이뤄지는지, 장애가 발생하기 전과 차이가 있지는 않은지 등을 점검했다.
이번 사태의 원인은 새올 인증 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애로 밝혀졌다. 지난 17일 오전 ‘새올’에 접속하는 GPKI 인증시스템에 장애가 생긴 뒤 해당 시스템 서버를 모두 점검 분석한 결과, 인증시스템 일부인 네트워크 장비 'L4 스위치'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행안부는 전날 오전 해당 장비를 교체하고 안정화 작업 등을 거친 뒤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재개됐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장애가 발생한 직후 대전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정보관리원)에 공무원과 민간전문가 100여 명을 투입해 주말 내내 복구작업에 들어갔다.
이들은 전산망 장애를 일으켰다고 지목된 네트워크 장비 등을 교체했고, 이후 시군구·읍면동 주민센터도 찾아 현장 점검을 벌인 결과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이번 사태의 원인을 두고 일각에선 해킹으로 인한 전산망 장애 의혹도 제기했으나 국가정보원은 가능성을 낮게 봤다. 우리나라 행정정보공유시스템은 망 분리가 돼 있고, 전산망 오류 전후로 해킹 징후도 찾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행정전산망 마비 사태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정부는 전 국민적인 비판을 피할 길이 없어 보인다. 지난해 10월에도 국세청 통합 전산망에서 문제가 발생해 약 2시간 30분 동안 전국 세무서 업무가 중단된 바 있다.
향후 책임소재가 불거질 가능성도 크다. 정보관리원에 네트워크 장비를 도입했거나 위탁 운영 중인 업체 등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문책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 17일 공무원 전용 행정전산망인 '새올'에 이어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인 '정부24도 서비스가 갑자기 멈추면서 정부 민원서류 서비스가 올스톱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사태가 터지자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해 주무부처 장관인 이 장관까지 부랴부랴 현장을 찾았다. 미국 출장 중 조기 귀국한 이 장관은 전날 밤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책 회의를 주재했고 문제가 발생한 정보관리원을 찾아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이 장관은 "지방행정 정보시스템 장애 발생으로 지자체 민원실과 '정부24'에서 업무처리가 지연·중단돼 국민께서 큰 불편을 겪으셨다"며 "국민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한 총리 역시 지난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 부처 영상 회의를 주재하고 "전날 정부 행정전산망 장애로 인해 공공기관의 대민 서비스가 중단되어 많은 국민께서 불편·혼란을 겪으신 데 대해서 송구하다"고 말했다.
시스템 마비가 사흘째 이어지자 야당은 정부를 맹비판했다.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정부 행정전산망 마비 사태가 계속되며 끝이 보이지 않고, 일부 복구됐지만 여전히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당장 내일이 월요일인데 언제 완전 복구 될지 기약도 없다. 무능도 이 정도면 올림픽 금메달감"이라고 꼬집었다.
또 "윤 대통령은 '바지 총리' 뒤에 숨어있지 말고 국민께 직접 나서 사과드리라"며 "이 장관이 이번에도 자신의 책임은 없다고 버틸지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