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모든 자동차들이 커스터마이징(맞춤 제작)이 많이 필요할텐데 비스포크가 될 수 있도록 자동차 플랫폼을 새로 개발해 제조 방식을 혁신해 나갈 것입니다."
정홍범 현대자동차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 법인장은 지난 16일 싱가포르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HMGICS의 차별점은 공장 전반의 프로세스의 지능화와 자율화로 100% 자동화된 메타팩토리를 추구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HMGICS는 소량 품종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이 아니라 다품종을 소량 생산하는 '셀(Cell)' 방식으로 자동차를 만든다. 부품 조립부터 구동 부품·서스펜션 장착, 시트 등 인테리어 부품 장착 공정 상당수를 로봇이 맡는다.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한 이유는 생산성과 품질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다.
정 법인장은 향후 스마트 시티에서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가 나올 것으로 평가했다. 목적에 맞는 차를 타고 싶은 사람이 늘며 목적기반차(PBV)가 생겨났듯 앞으로의 제품 개발 방향도 다양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서는 HMGICS 같은 테스트베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 법인장의 설명이다.
HMGICS는 자율공장을 지향한다. 로봇이 실제 공장 전반을 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를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전송받아 분석을 거쳐 최적의 생산을 지원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러한 자동화 제조 방식을 검증하기 위해 아이오닉 5를 생산 중이며 싱가포르 시장에 판매하고 있다. 로보택시도 HMGICS에서 생산해 미국에서 판매하고 있다.
HMGICS는 공장 전반에 대해 센싱을 하고 데이터를 받아 인공지능들이 데이터를 분석해서 최적화된 생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다른 완성차업체와의 차별점은 지능화와 자율화다. 다른 완성차업체들도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하고 있으나 일부 공정에서 데이터를 받아 낮은 수준의 공정 최적화를 하는데 그친다. 정 법인장은 "메타팩토리로 시스템을 개발해 서버와 현장,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법인장은 셀 생산방식을 통해 기회 손실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컨베이터벨트 시스템의 경우 대량 생산에도 수요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면 재고가 쌓이게 된다. 셀 생산방식은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만큼 생산성을 낼 수는 없지만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 법인장은 앞으로 셀 생산, 컨베이어벨트 생산 두 개의 생산 방식이 공존할 것으로 전망했다.
HMGICS에 적용된 혁신 기술들은 다른 글로벌 거점의 공장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그는 "자동화, 모바일 로봇을 활용한 물건의 이동 등 클린 매니지먼트라는 관제 시스템을 개발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자동화, 모바일 로봇,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 시뮬레이션해야 하는 부분들에 HMGICS의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 법인장은 친환경 에너지 생산도 검토하고 있다. HMGICS는 RE100를 선언하면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다. 다만 싱가포르는 자원 빈국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개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대차는 바이오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 내부에서 순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싱가포르를 혁신 거점으로 지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작은 시장이지만 많은 브랜드들이 진출했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HMGICS가 위치한 혁신 구역은 싱가포르 정부가 의욕적으로 만들고 있는 지역이기도 해 현대차의 방향성과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어 "차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해 고객 피드백이 중요한데 인구가 밀집돼 정보를 얻기도 최적"이라고 말했다.
정 법인장은 자동화 공장에 대한 근로자들의 반발은 없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화성 공장에서 PBV를 생산하는데 우선 기본 구조가 만들어지고 그 이후에 목적별로 주문 제작을 하게 된다"며 "주문 제작 시 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홍범 현대자동차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 법인장은 지난 16일 싱가포르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HMGICS의 차별점은 공장 전반의 프로세스의 지능화와 자율화로 100% 자동화된 메타팩토리를 추구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HMGICS는 소량 품종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이 아니라 다품종을 소량 생산하는 '셀(Cell)' 방식으로 자동차를 만든다. 부품 조립부터 구동 부품·서스펜션 장착, 시트 등 인테리어 부품 장착 공정 상당수를 로봇이 맡는다.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한 이유는 생산성과 품질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다.
정 법인장은 향후 스마트 시티에서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가 나올 것으로 평가했다. 목적에 맞는 차를 타고 싶은 사람이 늘며 목적기반차(PBV)가 생겨났듯 앞으로의 제품 개발 방향도 다양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서는 HMGICS 같은 테스트베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 법인장의 설명이다.
HMGICS는 공장 전반에 대해 센싱을 하고 데이터를 받아 인공지능들이 데이터를 분석해서 최적화된 생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다른 완성차업체와의 차별점은 지능화와 자율화다. 다른 완성차업체들도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하고 있으나 일부 공정에서 데이터를 받아 낮은 수준의 공정 최적화를 하는데 그친다. 정 법인장은 "메타팩토리로 시스템을 개발해 서버와 현장,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법인장은 셀 생산방식을 통해 기회 손실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컨베이터벨트 시스템의 경우 대량 생산에도 수요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면 재고가 쌓이게 된다. 셀 생산방식은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만큼 생산성을 낼 수는 없지만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 법인장은 앞으로 셀 생산, 컨베이어벨트 생산 두 개의 생산 방식이 공존할 것으로 전망했다.
HMGICS에 적용된 혁신 기술들은 다른 글로벌 거점의 공장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그는 "자동화, 모바일 로봇을 활용한 물건의 이동 등 클린 매니지먼트라는 관제 시스템을 개발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자동화, 모바일 로봇,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 시뮬레이션해야 하는 부분들에 HMGICS의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 법인장은 친환경 에너지 생산도 검토하고 있다. HMGICS는 RE100를 선언하면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다. 다만 싱가포르는 자원 빈국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개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대차는 바이오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 내부에서 순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싱가포르를 혁신 거점으로 지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작은 시장이지만 많은 브랜드들이 진출했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HMGICS가 위치한 혁신 구역은 싱가포르 정부가 의욕적으로 만들고 있는 지역이기도 해 현대차의 방향성과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어 "차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해 고객 피드백이 중요한데 인구가 밀집돼 정보를 얻기도 최적"이라고 말했다.
정 법인장은 자동화 공장에 대한 근로자들의 반발은 없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화성 공장에서 PBV를 생산하는데 우선 기본 구조가 만들어지고 그 이후에 목적별로 주문 제작을 하게 된다"며 "주문 제작 시 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