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단 회의에서 지금까지 진행 상황을 점검했고, 또 앞으로 할 일에 대해서 의논했다"며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위해서 경기도가 이제까지 할 수 있는 일은 다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지사는 "경기 북부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콘텐츠를 만들었고, 주민 의견을 수렴했고, 경기도의회가 결의안을 두 번에 걸쳐서 통과시키기도 했다"면서 "이제 다음 할 일은 중앙 정부로 공이 넘어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얼마 전에 중앙정부에 주민투표 요구를 했다. 오늘 경기북부특별자치도와 관련된 우리 민관합동위원회에서는 우리가 요청한 주민 투표에 대한 중앙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동향에 대해 의논했고, 그 대책에 관해서도 이야기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 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주민투표에 대해서 (정부가) 부정적인 결론을 낸다면, 경기도민의 여망을 저버리는 것"이라며 "경기도민의 30년 여망 또 그동안 진행돼 왔던 완벽한 준비를 볼 때 이 주민 투표를 거부할 명분이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면서 "만약에 정부가 거부한다면 100% 정치적 의도에서 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고, 결코 그 경우에는 경기도민과 이 일을 추진한 많은 분, 저 또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지난 20년 넘게 대한민국은 국토 균형발전과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을 추진해 왔다"면서 "보수와 진보를 떠나서 모든 대통령과 정부에서 추진해 왔던 일이다"라며 "불과 5개월 앞둔 총선 전략으로 국토 균형발전과 지방자치 분권에 정면으로 거스르는 서울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은 정말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 지사는 "만약에 정부가 주민투표를 거부하면 지방자치법 등을 통해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겠다"면서 "산이 막히면 길을 만들고 물이 막으면 다리를 놓고 가겠다"고 역설했다.
김 지사는 끝으로 "정치적인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면 엄중히 경고한다"며 "저와 경기도는 뚜벅뚜벅 큰길을 가겠다"고 약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