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근로소득과 이전소득이 늘면서 가계 실질소득이 5분기 만에 반등했다. 다만 고물가·고금리 영향으로 지출이 더 늘어난 데다 하위 가구 소득은 오히려 감소하면서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503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3.4% 늘었다.
물가 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소득은 0.2% 증가했다. 3분기 평균 물가 상승률이 3.1%로 여전히 높아 소득 증가 분을 갉아먹었다는 얘기다.
실질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줄거나 보합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 2분기에는 1년 전보다 3.9%나 줄면서 17년 만에 최대 낙폭을 보인 바 있다.
실질소득 반등은 근로소득과 이전소득 증가 영향이다.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은 322만3000원으로 3.5% 늘었다. 최근 고용시장 호조가 반영된 결과다.
이전소득도 72만9000원으로 14.5% 늘었다. 지난해 높았던 물가가 올해 연금에 반영됐고 0~1세 자녀를 둔 가구에 지급하던 영아수당이 올해 부모급여로 바뀌면서 지원액이 35만원에서 70만원으로 늘어난 게 주효했다.
다만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12만2000원으로 0.7% 줄면서 전체 5분위 가구 중 유일하게 감소세를 나타냈다. 연금 등 이전소득은 늘었지만 근로·사업소득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1분위 가구 소득 감소에 대해 7~8월 집중호우 등 날씨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했다. 1분위 가구에는 건설업 등에 종사하는 임시 일용직과 농가 등이 많은데 집중호우로 일을 하지 못하거나 비 피해로 농가 소득이 줄면서 근로·사업소득이 동반 감소했다는 해석이다.
1분위 가구는 소득이 감소하면서 지출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비지출이 1년 전보다 0.7% 줄어든 123만7000원으로 전체 5분위 가구 중 유일하게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084만3000원으로 4.1% 늘었고 소비지출도 6.5%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한 빈부격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개선됐지만 전 분기보다는 악화했다. 명목소득에서 각종 세금, 보험료,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지난 3분기 기준 1분위 가구가 90만7000원으로 0.6%, 5분위 가구는 831만9000원으로 3.1% 증가했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몇 배 많은지를 의미하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3분기 기준 5.55배였다. 지난해 동기보다 0.20배포인트 하락했지만 올해 2분기보다는 0.21배포인트 올랐다. 이 배율이 클수록 소득 분배에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배율만 보면 1분위 소득은 나빠지고 5분위 소득은 좋아져 격차가 벌어졌다고 볼 수 있지만 가구마다 가구원 수가 달라 다시 균등화를 진행하고 살펴봐야 한다"며 "1분위 비소비지출이 감소해 소득이 상대적으로 올라간 측면이 있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배율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물가 잡긴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