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 리스크에 발목 잡힌 상장사들…"이름이라도 바꾸자" 안간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하준 기자
입력 2023-11-23 17: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오너 리스크가 상장폐지로 이어지면서 주식을 보유 중인 개인투자자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습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오너 리스크에 따른 주주들의 피해를 예방하고 구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배임·주가조작…초록뱀 상폐 몰고 간 오너 리스크
원영식 초록뱀그룹 회장 영장실질심사 출석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상화폐거래소 빗썸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는 원영식 초록뱀그룹 회장이 29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법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2023629
    jieunleeynacokr2023-06-29 103813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상화폐거래소 빗썸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는 원영식 초록뱀그룹 회장이 지난 6월 29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법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초록뱀미디어가 이달 상장폐지 됐습니다. 코스닥시장위원회는 지난 20일 초록뱀미디어 주권 상장폐지를 심의, 의결했습니다. 초록뱀미디어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되지 못하고 시장 밖으로 퇴출 당한다는 의미입니다. 기업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증권플러스비상장, 서울거래비상장 등 장외 시장에서는 거래가 가능합니다.
 
장외 시장에서의 거래는 투자자 보호가 상대적으로 미흡합니다. 개인투자자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기도 쉽지 않습니다.
 
초록뱀미디어는 상장폐지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의신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초록뱀미디어 관계자는 "이의신청에서 회사의 안정적 재무구조 기반과 기업의 연속성, 경영 투명성 등 그동안 개선한 성과를 더욱 강력히 피력하겠다"며 "올해를 포함해 지난 몇 년간 큰 폭의 실적 성장세와 더불어 앞으로의 성장 계획도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1998년에 설립된 초록뱀미디어는 올인, 불새, 추노, 나의 아저씨, 펜트하우스, 나의 해방일지 등을 제작한 국내 드라마 제작사입니다. 

초록뱀미디어의 올해 3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4.5% 증가한 166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46.1% 증가한 5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실적이 나쁘지 않아 보이는데 무슨 이유로 상장폐지되었을까요?
 
원영식 전 초록뱀 그룹 회장의 배임 혐의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앞서 원 전 회장이 2021년 9월, 호재성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자녀 소유 법인에 초록뱀미디어 전환사채 콜옵션을 무상으로 부여해 회사에 약 15억원의 손해를 입혔습니다. 또한, 주가 상승으로 24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득한 혐의로 지난 7월 구속기소 됐습니다.
 
기업 이미지 개선 위해 사명 변경…"오너 '갑질' 예방 장치 필요"

오너 리스크로 발목이 잡힌 상장사는 초록뱀미디어뿐만이 아닙니다. 신라젠, MP그룹, KH그룹 등 여러 상장사도 상장폐지 위기에 직면했었습니다.
 
시위하는 신라젠 주주들 모습 사진연합뉴스
시위하는 신라젠 주주들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2016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신라젠은 간암 치료제 '펙사벡'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이 기업은 한때 코스닥 시가총액 2위까지 오르기도 했습니다. 승승장구를 달리고 있던 회사는 지난 2020년 5월에 문은상 전 대표 등 전·현직 경영진의 횡령·배임 혐의로 주식 거래가 정지됐습니다.

문 전 대표가 페이퍼컴퍼니(유령회사)를 통해 DB금융투자로부터 350억원을 빌려 신라젠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인수한 뒤 신라젠에 들어온 돈을 다시 페이퍼컴퍼니에 빌려주는 수법으로 1918억원의 부당이득을 취했기 때문입니다. 신라젠은 회사를 엠투엔에 매각하고 경영진을 교체, 지배구조 개선 문제를 가까스로 해결해 지난해에 상장폐지 위기에서 탈출했습니다.
 
국내 피자 프랜차이즈 미스터피자를 운영하는 MP그룹도 지난 2018년 상장폐지될 뻔했습니다. 당시 오너였던 정우현 전 회장이 150억원대 횡령·배임을 저지른 혐의로 지난 2017년 7월 구속기소 돼 상장적격성 실질 심사 대상이 됐기 때문입니다.

정 전 회장은 경비원 폭행을 시작으로 본사의 가맹점에 대한 갑질 논란, 지인 부당지원 불공정행위가 구설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정 전 회장을 비롯해 최대주주 일가가 경영에서 물러나면서 회사는 기사회생하게 됩니다. MP그룹은 이미지 제고를 위해 지난 3월 디에스이엔으로 사명변경을 하기도 했습니다.
 
배상윤 KH그룹 회장의 호화 해외도피를 도운 혐의를 받는 우모 KH 총괄부회장이 지난 5월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배상윤 KH그룹 회장의 '호화 해외도피'를 도운 혐의를 받는 우모 KH 총괄부회장이 지난 5월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너리스크에 그룹 자체가 흔들린 경우도 있었습니다. 올해 KH그룹 7개 계열사 중 5곳(KH필룩스, KH전자, 장원테크, KH건설, IHQ)이 지난 4월 초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으로 '의견거절' 또는 감사 범위 제한으로 인한 '한정의견'을 받아 주식거래가 정지됐습니다. 감사의견 거절 등은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합니다. KH그룹은 '알펜시아 리조트 입찰 비리 의혹', 쌍방울그룹의 대북 송금 의혹, 주가 조작 의혹 등으로 검찰 수사를 받았습니다. 배상윤 KH그룹 회장은 검찰 수사를 피해 해외 도피 중인 상태입니다.
 
상장폐지 위기를 겪는 기업들은 대부분 상호변경을 통해 부정적 이슈를 가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에 사명을 바꾼 코스닥 상장사들만 68곳에 달합니다. 사명을 바꾼 기업 중 실적 악화, 경영권 분쟁, 경영진의 형사 기소 등 악재에 휘말린 기업은 44곳으로 64%를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최대주주 변경과 사명변경이 잦은 상장사의 경우 투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임현일 한국ESG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의 오너 및 오너 일가의 횡포로 인한 사회적 문제와 논란은 기업의 주가 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된다"고 말했습니다.
 
임 연구위원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오너의 갑질 논란에 대한 사전적 예방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경우처럼 집단소송의 적용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오너 리스크에 따른 소액주주들의 피해 방지를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