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과컴퓨터가 인공지능(AI) 사업을 본격화한다. 5년 내 글로벌 빅테크 기업 진입을 목표로 AI를 활용한 지능형 문서 작성 도구인 '한컴 어시스턴트(가칭)' 출시 계획을 공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지능형 자동화(IA)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IA는 자동화 도구에 AI를 추가한 것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한국판 코파일럿 '한컴 어시스턴트' 내년에 선보여
한컴은 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엠버서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의 AI 사업 전략과 기술에 대해 공개했다. 한컴 어시스턴트는 스마트 문서 작성 엔진을 기반으로 여러 초거대언어모델(LLM)과 연결돼 동작하는 AI 지능형 문서 작성 도구다. 자연어로 명령하면 LLM을 거쳐 내용을 이해하고 의도를 분석해 자동으로 문서 생성을 돕는다.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내놓은 생성형 AI 비서인 '코파일럿'과 유사하다. 한컴은 MS와 함께 스크립트 엔진을 보유한 세계 유일 기업이다. 한컴 어시스턴트는 스크립트 엔진을 활용해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단순 LLM을 연동하는 수준의 다른 서비스보다 고도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우선 내년 상반기 베타 출시를 목표로 잡았다.
한컴은 자사 AI 기술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기술을 결합한 문서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 개발도 추진 중이다. 이 시스템은 고객이 보유한 문서 정보를 바탕으로 자연어가 답변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고 환각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구축형으로 제공해 기업 등 고객 정보를 보호하고, 사용 목적에 최적화한 소형언어모델(sLLM)을 활용해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다.
김연수 한컴 대표는 "그간 한컴은 패키지 애플리케이션 사업 한계를 뛰어넘고자 보유 기술의 모듈화를 통해 기술 기업으로 전환에 집중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30년 넘게 축적한 문서 기술에 AI 기술을 더하고, 이를 SDK 형태로 모듈화해 다양한 기업·기관 시스템이나 솔루션에 적용하며 새로운 시장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컴얼라이언스 조성···기술수출·해외 시장 확대
한컴은 이날 '한컴얼라이언스' 공식 출범을 알리는 발족식도 진행했다. 한컴얼라이언스는 한컴과 파트너사들이 자체 기술과 영업력, 사업 기회를 공유하는 협력체다.
한컴은 얼라이언스 참여사에 기술을 지원하고 다양한 권한을 제공한다. 동시에 한컴 SDK와 AI, 문서 관리 솔루션 등 한컴의 기술력과 강점을 파트너사 기술과 결합해 차별화한 가치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해외 거점은 우선 일본에 마련하고, 꾸준히 확장해 나간다. 향후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구축형 솔루션 기반 사업 등 더 광범위한 분야에서 파트너사들과 협업할 방침이다.
이를 기반으로 해외 솔루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출을 적극 추진한다. 과거 해외 진출 시도가 오피스 소프트웨어에 한정됐다면, 자체 보유한 기술 모듈로 타켓 시장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컴의 성장 기반이 된 인수·합병(M&A) 전략을 통해서도 유럽 등 해외 AI 기업 투자를 추진 중이다. 국내 기업 중에서도 해외 시장 확대가 가능한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김 대표는 "내년은 AI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산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한컴 어시스턴트를 중심으로 고객·산업별 사업 업무절차에 맞춘 자동화 업무를 수행하는 한컴만의 IA로 관련 시장을 계속 공략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컴 첫 주주환원 정책 공개··· 3년간 배당 계획 발표
한컴은 전날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도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한컴은 처음으로 중기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올해부터 3년간 매년 별도 기준 잉여현금흐름(FCF)의 25~30%를 배당으로 환원하겠다고 밝혔다. 자기주식 취득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한컴은 2018년 이후 배당을 시행하지 않았으나, 2년 전 김 대표 취임 이후 적극적인 주주 친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100억원 규모 자기주식을 취득하고, 올해 7월에는 발행주식 총수의 5.6%에 달하는 200억원 상당의 자기주식 소각을 단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