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6동 국토교통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국토교통부는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 선정기준 개정 등으로 BIM 설계 확산과 젊은 기술인의 참여가 확대되고 합리적 대가가 지급되는 등 내실 있는 설계 환경이 조성된다고 20일 밝혔다. BIM는 3D 모델링 기반으로 건설 全 단계에 걸쳐 디지털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다.
국토부는 '건설기술용역 종합심사낙찰제 심사기준','건설엔지니어링사업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용역적격심사 및 협상에 의한 낙찰자 결정기준' 개정안을 마련해 오는 28일부터 시행한다.
지난해 7월 마련된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 이후로 현장에서의 BIM 적용은 확대돼 왔으나 설계사 선정을 위한 평가 시 기술인들의 BIM 설계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가 없어 설계사의 BIM 수행 능력을 판단하기 어려웠다.
이에 국토부는 종합심사낙찰제(가격·기술 종합심사)의 평가항목에 'BIM 등 스마트 건설 기술인 역량'을 신설해 기술인의 BIM 역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의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 중 분야별 책임기술인의 실적기준을 대폭 완화(10년간 10건→7건)해 젊은 기술인들의 사업 참여 기회도 확대한다.
중·소규모 설계용역(2억2000만원 이상~10억 미만)의 경우 다른 기관(조달청, 환경부 등) 대비 낙찰률이 낮아 부실 설계가 우려된다는 업계·전문가 지적이 있어 낙찰률을 83% 이상에서 85.5% 이상이 되도록 현실화한다.
김태오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이번 개정을 통해 젊고 스마트 기술 역량을 지닌 건설엔지니어링 기술인들의 사업 참여가 증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건설엔지니어링 산업구조의 혁신과 발전을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