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이 최근 생산직과 현장직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경우 생산·현장·특수기능직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 기존 근로자들의 근무시간 확대와 급여 인상 등을 통해 대응하겠다고 답변했고 중소기업은 이에 더해 외국인 채용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26일 한국은행 조사국 지역경제조사팀은 지역경제보고서(골든북) 내 '기업의 인력수급 현황 설문조사'를 분석해 이 같이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달 9일부터 30일까지 전국 57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인력 수급 현황과 기업 노동수요 변동 원인, 인력수급 불균형 대응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이 중 314개 업체(응답률 55.1%)가 응답한 결과다.
한은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업체의 15.3%가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 비해 2023년 현재 일손이 부족(인력부족)하다고 답변했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당시 비중(12%)보다 3% 이상 확대된 것이다. 또한 기업 10곳 중 2곳(22.2%) 이상은 2019년보다 올해 채용경쟁률이 하락했다고 응답해 기업(노동수요)과 구직자(노동공급) 간 인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생산·현장·특수기능직의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근로자 근로시간 증가'(28.1%), '급여 인상·복지 개선'(26.1%), '비정규직 인력 채용'(15.4%)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 별로 분류해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에선 급여 및 복지 개선(27.9%), 기존 근로자 근로시간 증가(26.2%)에 이어 외국인 채용을 확대해 대응하겠다(16.4%)는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질문에 대해 외국인을 채용하겠다는 중견기업 응답률이 4.1%에 그친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이밖에 일반 사무직의 경우 인력 부족 문제 대응을 위해 '기존 근로자 근로시간 증가'(35.1%), '급여 인상·복지 개선'(35.1%), '자동화·AI·디지털전환'(8.6%)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연구개발직은 주로 '급여 인상·복지 개선'(43.1%)을 통해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실질적 해결이 어렵다'(11.3%)고 응답한 업체 비중도 타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눈길을 끌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