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대(對)러시아 수출 금지 품목을 확대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내년 수출액도 크게 줄어들게 됐다. 앞서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로 인해 러시아 내 사업이 크게 위축된 자동차 업계는 정부의 이번 조치로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됐다. 러시아를 주요 수출국으로 둔 건설 중장비 업계 역시 내년도 실적에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러시아가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것"이라고 보복 조치를 경고한 만큼 추가적인 산업계 피해도 예상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는 최근 한국 정부가 대러시아 수출 금지 품목을 확대한 데 대해 보복 조치를 경고했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682개 품목을 상황허가 대상에 추가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예고한 바 있다. 이로써 상황허가 대상 품목은 1159개로 확대되며, 수출 금지된 품목은 군사용으로 쓰일 수 있는 굴착기 등 건설 중장비와 배기량 2000cc 이상의 대형급 승용차 등이 포함됐다.
러시아 정부가 공개적으로 보복을 예고하면서 정부와 관련 업계는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상태다. 한국무역협회가 제공하는 국가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대러시아 교역은 지난해 수출액 기준 63억2817만 달러 규모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출 품목은 △자동차(8억9403만 달러) △철강 구조물(6억187만 달러) △자동차 부속품(4억5354만 달러) △불도저와 같은 건설 중장비(3억401만 달러) 순이다.
특히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품목은 건설 중장비가 손꼽힌다. 지난해 전 세계로 수출된 국내 건설 중장비 규모는 36억7288만 달러다. 이 중 러시아는 미국(8억2662만 달러)과 벨기에(7억7700만 달러) 다음으로 큰 건설 중장비 교역국이다. 대표적으로 굴착기, 휠로더 등의 건설 기계들이 러시아에 판매되고 있다.
그간 대러시아 시장과 관련해 타격을 받아왔던 자동차 업계의 한숨도 깊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대러시아 자동차 수출액은 2021년(25억5030만 달러) 대비 약 70% 이상 곤두박질쳤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글로벌 제재 영향으로 현대차 등 우리 기업들의 수출 및 러시아 현지 생산이 사실상 멈추다시피 했던 탓이다.
이번 2000cc 이상 승용차 수출 금지가 추가되면서 상황은 더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올해(1~11월) 대러시아 자동자 수출은 △가솔린 1500~3000cc △가솔린 3000cc 초과 △디젤 2500cc 초과 항목에서 각각 전년 대비 -43.7%, -54.6%, -14.9%를 기록한 상태다.
김경훈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미 전쟁 이후에 수출이 어려워진 상황이고, 러시아 내 현대차 생산공장도 매각한 상황이라 당장 우리 수출에 큰 타격이 있다고 보긴 어려우나, 2021년 기준 러시아가 우리나라의 3대 자동차 수출국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장 상실은 뼈아픈 점"이라며 "양국 관계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번 추가 수출 금지 조치로 향후 점유율 회복도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안에 대해 정부는 시장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정부 부처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공존과 러·우전쟁의 평화적 해결 차원에서 저희 의무를 다한 것"이라며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이 무엇인지 파악하면서 러시아 측과 긴밀히 소통해 우리 기업이나 교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러시아가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것"이라고 보복 조치를 경고한 만큼 추가적인 산업계 피해도 예상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는 최근 한국 정부가 대러시아 수출 금지 품목을 확대한 데 대해 보복 조치를 경고했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682개 품목을 상황허가 대상에 추가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예고한 바 있다. 이로써 상황허가 대상 품목은 1159개로 확대되며, 수출 금지된 품목은 군사용으로 쓰일 수 있는 굴착기 등 건설 중장비와 배기량 2000cc 이상의 대형급 승용차 등이 포함됐다.
러시아 정부가 공개적으로 보복을 예고하면서 정부와 관련 업계는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상태다. 한국무역협회가 제공하는 국가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대러시아 교역은 지난해 수출액 기준 63억2817만 달러 규모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출 품목은 △자동차(8억9403만 달러) △철강 구조물(6억187만 달러) △자동차 부속품(4억5354만 달러) △불도저와 같은 건설 중장비(3억401만 달러) 순이다.
특히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품목은 건설 중장비가 손꼽힌다. 지난해 전 세계로 수출된 국내 건설 중장비 규모는 36억7288만 달러다. 이 중 러시아는 미국(8억2662만 달러)과 벨기에(7억7700만 달러) 다음으로 큰 건설 중장비 교역국이다. 대표적으로 굴착기, 휠로더 등의 건설 기계들이 러시아에 판매되고 있다.
그간 대러시아 시장과 관련해 타격을 받아왔던 자동차 업계의 한숨도 깊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대러시아 자동차 수출액은 2021년(25억5030만 달러) 대비 약 70% 이상 곤두박질쳤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글로벌 제재 영향으로 현대차 등 우리 기업들의 수출 및 러시아 현지 생산이 사실상 멈추다시피 했던 탓이다.
이번 2000cc 이상 승용차 수출 금지가 추가되면서 상황은 더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올해(1~11월) 대러시아 자동자 수출은 △가솔린 1500~3000cc △가솔린 3000cc 초과 △디젤 2500cc 초과 항목에서 각각 전년 대비 -43.7%, -54.6%, -14.9%를 기록한 상태다.
김경훈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미 전쟁 이후에 수출이 어려워진 상황이고, 러시아 내 현대차 생산공장도 매각한 상황이라 당장 우리 수출에 큰 타격이 있다고 보긴 어려우나, 2021년 기준 러시아가 우리나라의 3대 자동차 수출국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장 상실은 뼈아픈 점"이라며 "양국 관계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번 추가 수출 금지 조치로 향후 점유율 회복도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안에 대해 정부는 시장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정부 부처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공존과 러·우전쟁의 평화적 해결 차원에서 저희 의무를 다한 것"이라며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이 무엇인지 파악하면서 러시아 측과 긴밀히 소통해 우리 기업이나 교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